역사를 바꾼 100책
EBS 독서진흥 자문위원회 지음 / EBS BOOKS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문득 궁금해져 우리나라 독서 현황에 대한 내용을 찾다가 본 한 기고*에 따르면, 1년에 책을 1권 이상 읽는 사람은 100명 중 74명을 조금 넘습니다. 2015년 시행된 실태 조사의 자료를 인용한 것인데, 지금은 어떻게 달라졌을지 궁금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책은 교과서, 참고서, 수험서, 잡지, 만화를 제외한 일반도서만을 기준으로 한 것입니다. 우리나라는 OECD 국가 중 12번째로, 중간 정도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비록 OECD의 평균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그래도 예상보다 높은 것에 놀랐습니다.


본 책은 우리나라의 낮아지는 독서율로 인한 문해력 부족과 사회적 소통의 단절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최재천 교수님을 위원장으로 각 분야의 학자로 구성된 자문 위원 11명과 공동 집필진 30명까지, 총 41명으로 작년에 발족한 'EBS 독서진흥 자문위원회'가 깊은 논의 끝에 최종 선정한 추천도서 100권에 대한 해설을 담은 책입니다. 100권은 '철학, 과학, 문학, 사회학, 경제학, 예술, 역사, 심리학', 8개 분야에 고루 분포되어 있습니다.


예전부터 전해오며 많은 이들이 본받아 배울만한 내용을 담고 있는 작품, 고전. 고전의 중요성은 익히 알고 있지만, 실천은 전혀 따르지 못하고 있어 부끄러울 뿐입니다. 책의 [머리말]에서 위원장 최재천 교수님이 하신 '모두가 읽어야 한다고 생각은 하지만 정작 읽는 이는 거의 없는 고전'이라는 말씀에 정곡을 제대로 찔렸습니다.


고전하면 아마 많은 분들이 인문 분야의 책들을 먼저 떠올리실 것입니다. 하지만 오늘날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에서 가장 중요한 학문 중 하나라 할 수 있는 과학은, 최재천 교수님 말씀처럼, 기술의 발전과 끊임없는 연구로 기존 지식이나 정보가 꾸준히 바뀌어가다 보니 해당 분야의 책이 고전으로서 제대로 다뤄지지 못했던 것이 사실입니다. 이런 틀에 박힌 모습이라고도 할 수 있는 고전에 대한 기존 목록을 탈피한 것은 물론, 우리 삶에서 결코 빼놓을 수 없는 분야인 경제학 책 다수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학자인 정약용, 박지원, 홍대용의 책이 목록에 추가된 것이 본 책의 큰 특징이자 장점이라 생각합니다.


어떤 책이 우리 인류의 학문과 인식의 역사를 바꿔놓았는지, 직접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기고 URL : https://www.munhakin.kr/news/articleView.html?idxno=745



※ 출판사로부터 책을 지원받았으나, 본 서평은 오로지 제 주관적 견해로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