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도시의 미래 - 인문학자가 직접 탐사한 대한민국 임장 보고서
김시덕 지음 / 포레스트북스 / 202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는 본 책을 위해 도시개발계획, 주요 언론 기사 같은 자료를 찾고 모으는 것에 그치지 않고 직접 두 발로 돌아다니며 답사뿐만 아니라 지역 주민의 인터뷰까지 했습니다. 이처럼 수많은 자료를 바탕으로 집필한 만큼, 인문학자인 저자지만, 인문학 뿐만 아니라 경제, 정치, 지정학 등을 아우르는 넓은 관점으로 우리나라 전역을 살피고 있습니다.


저자는 우리나라의 과거와 현 상황을 볼 때, 정치도 행정도 우리 삶과 우리가 살고 있는 도시를 책임져 주지 않을 것이기에, 우리는 각자가 자기 살 길과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본책은 바로 그런 힘을 기르는 데 도움을 주고자 쓴 책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리나라 도시의 현재와 미래를 잘 알아야 하고, 이를 위해 자신만의 틀로 이야기를 구성했습니다. 잘 아시다시피 우리나라를 도시별로 구분할 때 가장 먼저 떠올릴 수 있는 것은 바로 행정구역입니다. 그러나 이런 시각으로는 우리나라 도시의 미래를 제대로 그려보기 어렵다는 판단 아래, 저자는 메가시티 세 개와 소권역 여섯 개, 즉 아홉 개의 권역으로 우리나라를 나누었습니다. 그리고 이 권역들로 우리나라의 도시가 집중될 것이라 주장합니다.

저자는 정치인 및 행정가들이 주장하는 메가시티의 개념은 '기계적인 결합 시도와 도의 경계를 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며 문제를 제기합니다. 그리고 서울을 중심으로 강원, 충남 등을 포괄하는 '대서울권', 포항, 울산, 창원, 사천, 순천, 광양 등의 '동남권', 그리고 우리나라 국토 중심에 자리한 대전, 세종, 논산 등의 '중부권'으로 3대 메가시티를 정의합니다. 이와 함께 저자가 우리나라 미래의 중심으로 예상하는 소권역은 '대구ㆍ구미ㆍ김천, 동부 내륙, 동해안, 전북 서부, 전남 서부, 제주도', 이렇게 여섯입니다. 저자는 '국제 정세, 3대 메가시티와 소권역, 인구, 교통'을 그 예측의 포인트로 삼아 권역의 미래를 그려봅니다.


그동안 전작들을 통해 서울을 많이 다루었기에 본 책에서는 서울 외의 지역에 보다 집중했다고 하니, 해당 지역에 관심을 갖고 계신 분들에게도 많은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저자의 책은 이번에 처음 접했는데 본 책이 아홉 번째 책이라고 하더군요. 본 책을 보고 나니 전작들을 찾아보고 싶어졌습니다. 본 책의 속편을 비롯하여 앞으로 나올 그의 책이 기다려지는 것은 물론이고요.


우리는 보통 주중에는 워낙 정신없고 바쁘게 보내다 보니, 집과 직장이 있는 생활권이 아닌 다른 지역은 주말이나 휴가 때가 아니면 찾기 쉽지 않습니다. 자연스레, 전업 투자자가 아닌 이상, 내가 사는 곳과 그 주변 정도에 관심이 제한될 수밖에 없습니다. 본 책을 통해 평소에 잘 가지 못하고, 잘 알지 못했던 지역의 정보와 주요 이슈를 확인할 수 있어 참 유익했던 시간이었습니다.



※ 출판사로부터 책을 지원받았으나, 본 서평은 오로지 제 주관적 견해로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