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똑한 사람은 어떻게 생각하고 질문하는가 - 사고력 실종의 시대, 앞서가는 사람들의 생존 전략
이시한 지음 / 북플레저 / 202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네 학창 시절을 돌아볼 때, "질문"에 대해 좋은 기억을 가진 분은 많지 않으리라 조심스레 짐작해 봅니다. 수업 시간에 선생님이 질문을 하라고 하셔도 하지 않았던 분들이 더 많겠죠. 정말 궁금해서 질문을 하더라도 같은 반 친구들의 그 따가운 눈총을 이겨내기란 쉽지 않습니다.


저자는 우리나라 사회를 나누는 기준점으로 "IMF 구제 금융 요청"과 "챗GPT의 등장"을 설정합니다. IMF 이전을 "전 질문(암기)의 시대", IMF 이후부터 챗GPT가 등장하기까지를 "질문(검색)의 시대", 그리고 챗GPT 등장 이후를 "후 질문(진짜 질문)의 시대"로 구분합니다. 암기의 시대에는 말 그대로 많은 것을 암기하고 있는 사람, 즉 지식이 많은 사람이 대우를 받았습니다. 하지만 그다음 시대, 즉 검색의 시대에는 그렇게 굳이 머릿속에 지식을 두지 않아도 검색을 통해 지식을 얼마든지 얻을 수 있게 됐습니다. 그리고 챗GPT 등장은 다시 사람마다, 그것이 머릿속 지식이든 검색의 결과이든, 내놓는 답의 차별성을 없애버리는 상황을 초래했습니다. 해당 도구를 통해 대부분의 사람들이 비슷한 속도로 비슷한 수준의 답을 내놓을 수 있게 됐기 때문입니다. 이런 현실에서 어떤 질문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얼마나 빨리 얼마나 좋은 답을 구할 수 있는지가 달라지게 되다 보니, 무엇보다 질문이 그 힘을 가지게 됐습니다. 후 질문 시대에 질문하는 능력이 인재의 기준이 된 이유입니다. 하지만 우리는 그동안 질문에 대해 인색했기에, 즉 질문 자체를 너무 멀리했기에 질문을 제대로 하는 방법을 배우지도, 질문하는 법을 훈련하지도 못했습니다. 그렇다 보니 아직은 질문을 못하는 사람이 대부분인, 모두 비슷한 위치에 있다고 저자는 말합니다.


우리가 의미 있는 것을 얻고자 질문을 던질 수 있는 존재는 다른 사람, 아니면 자기 자신입니다. 그리고 최근에 하나가 더 추가됐죠. 바로 챗GPT입니다. 저자는 본 책을 통해 이 세 존재에게 질문하는 법을 구성과 활용 측면에서, 원론적 내용부터 현실적이고 기술적인 내용까지 살펴봅니다.


'정성이 담긴 질문은 정성 가득한 답을 유도한다'라는 저자의 말이 기억에 남습니다. 문득 머리에 떠오르는 대로 말할 것이 아니라, 바야흐로 질문에도 공을 들여 해야 하는 시대입니다. 하지만 우리 인간은 본능적으로 변화를 싫어하고, 어느 정도 안정을 찾으면 다른 것을 찾거나 현재를 바꾸는 것을 더욱 꺼리게 된다고 저자는 말합니다. 변화의 필요성이나 이에 대한 의지가 있어야 비로소 질문도 나오기에, 질문을 위한 의식적인 노력이 꼭 필요하다고 저자는 강조합니다.


저자가 전해 주는 질문의 기술과 노하우는, 주변의 환경이나 사회에서 통용되는 상식 등에 대해 의문을 품고 이 의문의 핵심을 짚어낼 수 있는 질문을 만들어 그 질문의 답을 찾아가는, 즉 오늘과 미래를 살아갈 수 있는 길을 여는 데 큰 힘이 되어 줄 것입니다.



※ 출판사로부터 책을 지원받았으나, 본 서평은 오로지 제 주관적 견해로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