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아두면 쓸모 있는 심리학 상식 사전 알아두면 쓸모 있는 시리즈
에밀리 롤스.톰 콜린스 지음, 이은경 옮김 / CRETA(크레타) / 202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심리학"의 사전적 정의(표준국어대사전)는 '생물체의 의식 현상과 행동을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즉, 인간이 어떤 생각을 바탕으로 행동하는지에 대한 학문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범죄 행위와 범죄자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범죄의 해결과 예방에 일조하는 등 심리학은 다양한 영역으로 그 범위를 넓혀가고 있습니다.


이러한 심리학이 과학적, 객관적 방법으로 연구되기 시작한 것은 19세기 들어오면서부터입니다. 이전까지는 오늘날처럼 심리학이라는 정식 이름 없이 '정신 철학'이라는 이름으로 불렸습니다. 책은 심리학을 독자적 학문의 영역으로 발전시키는 데 교두보 역할을 하였고 '심리학의 아버지'로 많은 이들에게 인정받는 '빌헬름 분트'와 심리학을 관찰이 가능한 과학의 영역으로 들여오고자 한 그의 '내성법' 이야기로 시작합니다. 분트 이전까지는 '주관적 자기 관찰법'이 사람의 심리에 대한 주류 연구법이었습니다. 이는 철학자들이 자기 자신의 행동을 직접 관찰해 자신의 사고에 대해 생각하는 방법입니다. 분트는 이렇듯 주관성이 강하게 작용할 수밖에 없어 정확도가 낮은 방식을 탈피하고, 환경을 객관적이고 신중히 통제하며 반복적으로 관찰이 가능한 방법을 적용하고자 했습니다. 그렇게 '실험심리학'을 창시하게 되었죠. 이는 비록 한계가 있는 방법이었지만, 심리학이 오늘날과 같은 연구 방식에 이를 수 있도록 계기를 제공한 방법이었습니다.


본 책은 이 외에도 지각, 동조, 복종, 스트레스, 고립, 공포 같은 '핵심 개념'과 정신 역동 이론, 생물학적 접근법, 뇌 스캔 기법, 사회 학습 이론, 지능 이론, 게슈탈트 심리학, 사회 심리학, 인지심리학 등의 '연구와 이론' 등, 심리학과 관련된 꼭지 50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태동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심리학이라는 학문의 역사뿐만 아니라 최근 연구 결과와 꼭 알아야 할 중요 개념까지 두루 다루고 있기에, 심리학에 관심은 많으나 어떤 책부터,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어려운 분들, 심리학 기초를 다지고 싶은 분들, 심리학의 역사를 자세히 만나보고 싶은 분들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심리학의 과거와 현재에 대해 알려줄 뿐만 아니라, 미래까지 생각해 볼 수 있어 유익했던 시간이었습니다.



※ 출판사로부터 책을 지원받았으나, 본 서평은 오로지 제 주관적 견해로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