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펜하이머 아트북 : 크리스토퍼 놀란의 폭발적인 원자력 시대 스릴러
제이다 유안 지음, 김민성 옮김, 크리스토퍼 놀란 서문 / 아르누보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하면 세계적인 거장으로 통합니다. 영화를 좋아하는 분들이라면 그의 이름을 익히 아실 거라 생각합니다. <인셉션>, <인터스텔라> 등 그의 작품은 언제 보아도 푹 빠지게 만드는 흡입력이 있는 것 같습니다. 결코 짧지 않은 영화인데도 티브이에서 보게 되면 꼭 끝까지 보게 되더군요. <테넷> 이후 3년 만에 선보이는 그의 이번 영화 <오펜하이머>도 여러 이유로 개봉 전부터 세간의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켰습니다. 그러면서 전 세계적으로 9억 5천만 달러 이상의 흥행 기록을 세웠고 우리나라에서도 320만 이상의 관객 수를 기록했습니다. 개봉 당시에는 꼭 봐야겠다 생각했지만, 여러 사정 끝에 지금까지 결국 보지 못했네요. <오펜하이머>는 지금껏 놀란 감독이 제작한 영화 중 가장 많은 배우가 참여한, 그리고 가장 긴 상영 시간을 가진 영화라고 합니다. 그래서 본 책을 통해서나마 영화를,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이야기를 만날 수 있어 기뻤습니다.


저자는 오펜하이머의 핵폭탄 개발 프로젝트인 '맨해튼 프로젝트'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인물입니다. 우선 맨해튼 프로젝트를 위해 그 중심으로서 건설한 마을인 뉴멕시코의 로스앨러모스에서 태어났습니다. 그리고 그곳에서 자랐죠. 저자의 아버지는 핵물리학자로서 오펜하이머와 관련 있는 연구소에서 근무했다고 합니다. 거기에 더해 저자의 할머니 우젠슝 박사도 맨해튼 프로젝트에 참여했던 핵물리학자였습니다. 저자가 본 책을 펴내기로 마음먹은 데는 이처럼 영화가 자신의 고향에서 일어났던 일을 다뤘을 뿐만 아니라, 가족의 역사까지 그 영화에서 다루는 사건에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기 때문입니다.


책에는 영화를 어떻게 구상하게 되었는지, 주요 배역 배우들의 캐스팅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스텝 구성에 관한 이야기, 영화 세트장 건설 부지 탐색과 같은 본격적인 촬영 전, 즉 촬영 준비부터 촬영 중 이야기, 촬영 후 편집 등 영화에 관해 정말 많은 이야기가 담겨 있습니다. 어떤 면에서는 영화관에서의 만남보다 그 영화에 대해 더 많은 것을 알고 이해할 수 있는 경험이라 생각합니다. 그래서 극장에서 영화를 보지 못한 것이 되려 더 좋은 일이었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까지 했습니다. 덕분에 본 책을 만나게 됐으니까요.


사실 영화 아트북은 이번이 처음이었습니다. 영화를 보지 못했음에도, 앞서 말했던 이유로, 영화를 감상한 것만큼이나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고 자부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영화를 본 분들이라면 본 책을 저보다 더 즐길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 출판사로부터 책을 지원받았으나, 본 서평은 오로지 제 주관적 견해로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