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 공부 - 논어에서 찾은 인간관계의 처음과 끝
조윤제 지음 / 청림출판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작하는 글] 첫 머리에 등장하는 두 문장처럼 예부터 논어의 가치와 그것이 지닌 힘을 인정하는 사람들이 많았습니다. 아마 오랜 기간 동안 수많은 사람들이 논어를 읽어왔을 것입니다. 논어를 읽고 이를 바탕으로 삶을 바꾸고 많은 것을 이뤄낸 사람들이 분명 존재합니다. 하지만, 저자도 지적하고 있듯, 논어를 읽었음에도 그 효과를 제대로 깨닫지 못하고 삶에도 별다른 변화가 없었던 사람들이 훨씬 더 많습니다. 저자는 그들 사이의 가장 큰 차이는 바로 '사람'이라고 주장하며, 논어를 통해 '사람, 우리가 나아가야 할 옳은 길'을 배우고 그것을 실제 삶 속에 실천해 옮길 때 비로소 자신의 인생을 '완성'할 수 있다고 덧붙입니다.


우리가 살아가는 이 시대는 하루가 멀다 하고 세상이 참 빠르게, 그리고 급격히 변해갑니다. 어제 유행이던 것, 최첨단이던 것이 오늘은 구식, 유물 취급을 받기도 하죠. 그러다 보니 오늘날 우리가 세상을 살아가기 위해 공부해야 것들이 참 많습니다. 저자가 강조하는 '사람'보다 중요하게 여겨지는 것도 여럿이죠. 돈, 권력, 명예 등을 어렵지 않게 떠올리실 수 있을 것입니다. 많은 부를 얻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여러 가지를 공부합니다. 주식, 부동산, 경매, 코인, 온라인 커머스 등. 이러한 사람들에게 '우리는 사람에 대해 공부해야 합니다'라고 말하면 수긍하고 공부를 할 사람들이 과연 얼마나 될까요? 그럼에도 저자가 본 책을 펴낸 이유는 사람을 아는 것이야말로 오늘날의 시대를 우리가 살아나가고 헤쳐나가는 데 필요한 준비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논어를 통해 그 준비를 할 수 있다는 것이죠.


그래서 공자의 핵심 철학인 '충(忠), 서(恕), 성(誠)'을 그의 저서인 논어로부터 끌어내어, 그것을 약 60가지 이야기로 정리한 것이 본 책입니다. "충" 파트에서는 '단단한 어른이 되기 위한 배움의 자세, 삶의 기준', "서"에서는 '다른 사람과의 관계 맺기를 위해 자신을 성장시키고 다스리는 것'에 관한 내용, 그리고 "성"으로부터는 '배움과 바른 마음, 태도를 이어가기 위한 마음가짐'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본 책에서 말하는 사람은 다른 사람보다는 자기 자신에 무게를 두고 있습니다. 모든 인간관계는 나로부터 시작되기에, 배움으로 나를 먼저 바로 세우고 다스림으로써 타인을 이해하고 배려하고 사랑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비록 이전 세대도, 앞선 미래도 살아 본 것이 아니라 정확한 비교를 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만, 우리가 살고 있는 오늘날은 참 혼란한 시대인 것 같습니다. 본질적 가치가 희미해지고, 인간성에 대한 존중이 뿌리째 흔들리고 있는 것 같기 때문입니다. 본 책을 통해 다시 한번 사람의 가치를 되새김으로써, 거칠고 삭막한 이 세상 속에서도 굳건히 나아가고 사람다움을 지킬 수 있기를 바라봅니다.



※ 출판사로부터 책을 지원받았으나, 본 서평은 오로지 제 주관적 견해로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