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른의 국어력 - 말과 글에 품격을 더하는 지적 어른의 필수 교양
김범준 지음 / 포레스트북스 / 202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를 표현할 수 있는, 반대로 말하면 다른 사람이 나에 대해 판단할 수 있는 방법은, 글을 포함한 '말'과 표정이나 제스처를 포함한 '행동'으로 크게 정리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는 내 생각이나 관점을 다른 사람이 보고 들을 수 있게 드러내는 수단들이죠. 그중 말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굳이 언급하지 않아도 이미 잘 아실 것입니다. 이에 관해 전해져 내려오는 많은 격언만 봐도 충분히 이해가 가능하죠.


책 이름인 <어른의 국어력>. "국어", 말 그대로 '한 나라의 말', 여기서는 '모국어'까지로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럼 우리에게는 한글이 되겠죠. 따라서 "국어력"은 '한글을 구사하는 능력'으로 해석할 수 있겠습니다.


저자는 '어른다운 국어력'의 핵심은 문해력이라고 주장하며, 부족한 문해력은 언어적 문제에 대한 대응과 인간관계에 지장을 초래한다고 덧붙입니다. 책에서도 알려주듯 "문해력"은 "문맹률"과는 엄연히 다릅니다. "문맹률"은 글을 읽고 쓰는 문제에 관한 것이고, "문해력"은 글을 해석하고 이해하는 능력을 가리킵니다. 어떤 나라의 말을 읽고 쓸 줄 아는 것과 그 언어로 쓰인 모든 글을 완벽히 해석하고 이해하는 것은 다른 문제죠.


책에는 읽기, 말하기, 쓰기에 대한 저자의 생각이 담겨 있습니다. 어른으로서, 읽고 말하고 쓰는 데 있어 이 정도는 되어야 한다, 그렇게 되기 위해서는 이런 방법이 있다, 이건 어떨까 등을 다양한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저자는 직장인이면서도 휴가를 활용해 틈틈이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강연을 하는데, 그가 대학원을 다니며 또 졸업 후 공부한 내용, 독서, 그리고 경험 등이 근간을 이룹니다.


그의 글은 공감 가는 부분이 많았습니다. 물론, 그의 의견에 동의할 수도, 그렇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그의 주장대로 할지, 아니면 자신에게 맞는 다른 방법을 찾아볼지, 그것도 아니면 그냥 지금처럼 살아갈지는 결국 각자의 몫이죠. 하지만 그의 글을 통해 생각해 보고 곱씹어 볼 수 있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의미 있다 하겠습니다.



※ 출판사로부터 책을 지원받았으나, 본 서평은 오로지 제 주관적 견해로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