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감 중독 사회 - 분노는 어떻게 정의감을 내세운 마녀사냥이 되었나?
안도 슌스케 지음, 송지현 옮김 / 또다른우주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의감 중독'은 우리나라에서는 그렇게 많이 사용하는 표현은 아닙니다. 그렇다 보니, 그 의미를 유추해 볼 수는 있겠지만 정확히 파악하기는 한계가 있습니다. 이 '정의감 중독'이라는 용어는 일본에서 널리 쓰이는 것으로 코로나19가 퍼지기 시작한 후부터 빠르게 퍼지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정의감 중독'은 말 그대로 "정의를 지향하는 생각이나 마음"인 정의감에 중독됐다는 것입니다. 중독은 '독성 물질이 체내로 유입되어 기능 이상을 일으키는 것'과 '어떤 것이 없거나 부족하면 견디지 못하는 병적인 상태'로 나눠볼 수 있습니다. 저자는 정의감 중독이라는 현상은 이 두 가지 중독 모두에 해당한다고 주장하며, 정의감에 있어 전자의 중독이라면 '급성', 후자라면 '만성'이라고 진단합니다. 책에서는 후자를 집중적으로 다룹니다.


저자는 1장에서 정의, 즉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것이 결코 단순하지 않음, 매우 어려운 일임을 이야기합니다. 정의는 조건이나 상황, 보는 이의 관점에 따라 다른 모습으로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트롤리 문제(Trolly Problem)'를 예시로 들어주어 이해하기가 한결 수월했습니다. 아마 저도 다수와 비슷한 결정을 내릴 것 같지만, 그렇다고 제가 정의롭다고 과연 호언장담할 수 있는지 되묻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2장에서는 '분노 조절(anger management)' 분야에서 올바른 공적 분노 해당 여부를 판단하는 도구인 '빅 퀘스천(big question)'를 소개해 줍니다. "긴 안목으로 보았을 때 나에게도 다른 사람들에게도 건전한가?"가 바로 그것입니다. 긴 안목으로 봤을 때, 나 자신이나 주위 사람들에게 공감받을 수 있게 건전하다면 바람직한 공적인 분노라는 것입니다. 자신이 느끼는 분노가 과연 여기에 해당하는지 한 번 확인해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온라인 상에서 정의감을 표방한 분노를 분출하는 사람들의 상황과 심정에 대한 저자의 분석도 매우 흥미로웠습니다. 사실 이런 주장은 인터넷에서도 보았었는데, 이렇게 관련 전문가에게 직접 들으니 또 새롭게 다가오는 것 같습니다. 그런 사람들 모두가 여기에 해당하지 않을 수 있고, 또 해당한다고 해서 그들이 옳다는 것은 아니지만, 한편으로는 안타까운 마음이 들기도 했습니다.


3장에는 정의감 중독 정도를 체크해 볼 수 있는 테스트가 준비되어 있습니다. '급성 정의감 중독'과 '만성 정의감 중독', 둘 다 확인이 가능합니다. 급성에 비해 만성이 자신의 의지와 행동에 기인하는 부분이 크다 하겠습니다. 스스로 초래한다는 것이죠. 살고 있는 사회의 환경과 특성 상 우리는 어느 정도 급성에 해당하지 않을까 생각해 봤습니다.


앞서 정의감 중독 정도를 테스트했었는데, 5장에서는 행동력과 정보에 대한 민감성 정도를 조합하여 '정의감 중독 유형'을 5가지로 분류합니다. 단순히 분류만 하고 끝이 아닙니다. 자신이 그 유형에 해당할 경우 평소에 어떤 점을 주의하고 앞으로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지, 또 정의감 중독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4장)에 대한 조언이 이어집니다. 그뿐만 아니라, 이 유형의 사람과 좋은 관계를 맺고 유지하기 위한 방법도 전해 줍니다.


우리는 정의감 중독 사회에 살고 있습니다. 자신이 정의감 중독이든 아니든, 정의감 중독에 대해 알아야 하는 이유입니다.



※ 출판사로부터 책을 받았으나, 본 서평은 오로지 제 주관적 견해로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