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크 어게인 - 모르는 것을 아는 힘
애덤 그랜트 지음, 이경식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21년 3월
평점 :
품절


 

우리는 보통 우리가 알고 있는, 바르다고 믿고 있는 내용에 대해서는 웬만하면 의심하거나 다시 생각해보지 않습니다. 특별한 계기가 있지 않다면 말이죠. 이유는 간단합니다. 그러는 것이 훨씬 편하기 때문입니다.


저자가 직접 밝힌 이 책에서 저자의 목표는 '다시 생각하기가 일어나는 방식을 탐구'하는 것입니다. 위에서 말씀드린 대로 사건이나 사고가 있지 않고서 우리는 우리의 생각이나 사고를 바꾸려 하지 않는 것이 보통입니다. 그런데 어떻게 우리의 생각을 다시 살펴보게 되는지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 바로 이 책의 목표라는 것이죠.


1부에서는 개인 수준에서의 다시 생각하기와 자신의 의견을 새롭게 하는 것에 대해 생각해봅니다. 노벨상을 받은 과학자, 오스카상을 받은 영화 제작자 등 개인적으로 업적을 이룬 인물들이 등장합니다. 2부에서는 내가 아닌 다른 사람들이 다시 생각하기를 하도록 이끄는 방법에 대해 다룹니다. 자신의 의견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도록 유도하여 기존의 관점이나 의사를 바꾸도록 설득하는 데 그 방점이 있습니다. 3부에서는 집단 차원의 다시 생각하기를 통해 평생 학습 커뮤니티를 만드는 방법에 대해 고민해봅니다. 책의 마지막 부분에는 다시 생각하기 기술에 관심이 많아 나중에 직접 실천해보고자 하는 독자를 위해 책 전반에 걸쳐 소개되는 내용 중 저자가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들을 서른 가지 행동 지침으로 정리해 놓았습니다. 핵심이라고 볼 수 있겠죠.


저자의 동료이자 심리학자인 '필 테틀록'의 주장이 매우 흥미로웠습니다. 그는 사람들이 생각하고 말할 때 전도사, 검사, 정치인, 이렇게 완전히 다른 세 직업의 종사자처럼 변신한다는 내용이 그것입니다. 자신이 사실, 진리라고 알고 생각하는 내용에 위협이 가해지면, 즉 그것이 사실이 아니고 거짓일 수도 있다는 상황이 펼쳐지면 자신의 믿음과 관점을 지켜내고자 위에 언급한 세 사람이 되어 말하고 행동한다는 것입니다.


먼저, 자기 생각과 지식에 대한 방어를 위해 그것을 위협하는 상대에게 마치 교회의 전도사처럼 설교한다고 주장합니다. 그러다 다른 사람의 주장이나 논리에서 오류나 문제점 같은 빈틈이 보이면 이때는 마치 재판에서의 검사처럼 상대가 틀리고 자신이 옳다는 것을 증명하는 근거를 제시한다는 것입니다. 그러면서 옳다고 믿는 자신의 주장이나 의견에 동의가 필요할 때는 정치인이 되어 유세 연설, 언론 플레이, 심지어 로비까지 정치 공작을 편다고 말합니다. 이렇게 세 사람의 역할을 수행하며 자신의 의견, 주장이 옳다, 바르다는 것을 지키고 주장하는데 집중한 나머지 자신의 그 믿음이 자신이 생각한 만큼 정말 오류가 없는 것인지에 대해서는 다시 생각하지 않기 때문에 위험할 수 있다고 말합니다. 읽고 보니 정말 그런 것 같습니다. 우리는 우리가 틀렸다는 사실을 받아들이기보다는 나를 지적하는 주장의 모순이나 허점을 찾는데 더 열을 올리는 것이 보통이지 않습니까?


저자가 이 책을 통해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처럼, 기존에 알고 있던 지식이나 고수하고 있던 의견이 더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면 그것에 집착하기보다는 그것을 과감히 버림으로써 더욱 겸손해지고 성장할 수 있기를 바라봅니다. 흔들릴지언정 꺾이지 않는 갈대처럼 말이죠.

 

 

※ 본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오로지 제 주관적 견해로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