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에 빗대어 세상을 말하다
강명관 지음 / 길(도서출판) / 2006년 9월
평점 :
품절


최근 신문과 인터넷을 보니....'인문학의 위기'라는 空論이 몇몇 사람들의 입에서 회자되고 있는 것 같다. 그 철밥통을 지고 있는 사람들의 입에서 나오는 公論 아닌 空論이 과연 그들만의 위기 담론을 넘어서서 말 그대로 건설적이고 생산적인 사람냄새 풍기는 담론을 형성할 수 있을지......

인문학은 죽지 않는다. 이 세상이 동물농장으로 변하지 않는 이상 늘 우리 곁에는 인문의 정신이 살아 있을 것이다,.단지 그것을 빌미삼아 이미 '인문'정신을 상실해 가고 있는 이 땅의 수많은 '狡獸님'들에게서만 밥그릇의 위기를 인문학의 위기로 과대 포장하고 있을 뿐이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땅의 이곳 저곳에서는...주로 변방에 있는 사람들...오늘도 그 공허한 위기담론에 아랑곳하지 않고 열심히 자신의 학자적 소임을 수행하고 있는 사람들이 있다.

사람 냄새 풍기고, 그 사람들이 만들어 가는 세상의 무늬들을 반성하고 성찰하는 길의 바탕은 바로 고전의 힘인 것을 누가 부정할 수 있단 말인가.....풍문에 듣자하니 점점더 고전을 해석하는 수업은 그 지난함 때문에 학생들의 기피 대상 제 1호가 되고 있다. ......비판적인 고전 해석에 바탕을 두지 않는 꽃과 열매는 맛도 시큼털털할 뿐만 아니라 설사 그 화려하게 잘 포장된 것이라 하더라도 그 뒷맛은 씁씁할 것이다.

책도 마찬가지이다. 종로통에 있는 대형서점에 수시로 놀러가 보면 내 주머니를 털 수 있는 책들은 그리 많지 않다. 설사 주머니를 턴 책이라 하더라도 그 자리에서 바로 구매의 욕구를 당기게 만드는 책은 더더욱 많지 않을 뿐더러, 애인처럼 집으로 대동하여 이곳저곳을 눈여겨보고 만져도 보고 염탐도 해보고 읽고 나서도 뒷맛이 개운한 책은 정말 극소수에 지나지 않는다. 익히 인구에 회자되었던 '조선의 뒷골목 풍경'의 저자가 새롭게 선보인 책...변방이라고 할 수도 있는 그곳의 몇몇 사람들에게는 눈에 익은 글이 되겠지만....'옛글에 빗대어 세상을 말하다'는 책을 구해 하루밤을 보냈다. 마치 조선의 뒷골목은 아니더라도 여전히 잠자고 있는 수많은 문집들을 통해서 자근자근하게, 한 토막의 옛날 이야기를 우리에게 전해 주고 있다. 그런데 이 옛날 이야기들이 마치 비틀어져 가고 있는 이 세상에 대해 나직하면서 묵직하게 전도된 가치를 올곧게 세우라고 말해주고 있다. 정색을 하고 말하는 것이 아니라서 더더욱 친근하게 느껴지는 책이다. 그릇을 달리한 내용물들이 정말로 재미있게 전개되고 있다. 차례에서 보이는 것처럼 지금 이 곳에서 고민거리를 넘어 문제거리가 되고 있는 '기초학문' '인간해방'노동''동북공정''전쟁''행정수도''양극화''성의식'탐관오리''수능시험'등으로 저자의 문제의식이 옛글속에 그대로 담겨 전해지고 있다. 이런 점에서 고전 읽기의 재미를 듬뿍 느낄 수 있는 책이었기에 이 가을밤의 독서는 행복한 밤이었다.

한마디 첨언하면 도서출판 '길'에서 나오는 책들을 보면 전체적인 책의 꾸밈이나 편집 등등 아주 작은 부분에도 세심한 공을 들였다는 느낌이 든다. 이런 점들이 華而不實한 여타의 책들에서 느끼지 못하는 책에 대한 믿음을 더 한층 굳게 만들어 준다....나만 이런 생각이 드는 것인가!!!!! 아닐 것이다. 분명..눈 밝은 독자들은 알  수 있을 것이다....서점에 가시어 한 두 꼭지의 글을 읽어 보시라...분명 당신의 주머니를 털 것이다. 그리고 행복한 밤이 될 것이다....풀벌레 소리 들리는 창가에서 이 책을 펼치는 그 순간이 바로 인문정신이 살아 숨쉬는 시간과 장소가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