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로주체성의 이념 - 철학의 혁신을 위한 서론 ㅣ 인문정신의 탐구 1
김상봉 지음 / 길(도서출판) / 2007년 2월
평점 :
품절
해방 이후 데칸쇼로 시작되는 수많은 서양의 철학서들이 이 땅에
전래되거나 혹은 그것을 바탕으로 해석한 책들이 많이 있다. 지금도
여전히 그러한 책들은 이 땅에서 태어나고 있다.
그러나 딱 한가지 문제가 있었다. 바로 이 땅에서 태어나는 책들이건만,
이 땅의 현실은 없었다. 하여 결과적으로 개념과 어휘의 현란한 전시장은
이 땅에서 벌어지고 있는 서양철학의 모든 것을 대변하고 있었다. 마치 한때 서양, 특히
프랑스 철학이 출판시장에 범람했듯이.....푸코, 데리다 등등....
비록 이 책 '서로주체성의 이념'은 저자의 말 그대로 시론일지는 몰라도, 어디 그 '시론'을
'시론'으로 치부할 수 있겠는가? 서양철학의 중심인 주체성의 개념이 드러내고 있는 본질을
'나르시즘'으로 파악하고 그것은 타자를 배제, 혹은 정복하고자 하는 홀로 주체성이라니......
하여 그 홀로 주체성의 본질인 '나르시즘'을 넘어서고자 하는 저자의 시론인 서로주체성....자아와 타자, 인간과 자연....등등....은 철저하게 이 땅에서 '철학함'의 행위를 깊은 사색과 고민 속에서 드러내고자 하였다.
저자의 앞선 책도 읽어 본 경험에 비추어 볼 때, 이 책은 '학벌사회'보다 좀더 정치하게 '철학함'을 드러내고 있지만 가만히 정좌하고 이 책의 행간을 읽어본다면 이 땅에서 철학한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게 될 것이다. 우리 역사적 현실에 뿌리박은 철학의 형성을 모색한 결과라고.....바로 이 고민의 증거가 '서로주체성'이었다. 타자를 배제하거나 정복하는 것이 아니라 공존하고자 하는 인류의 철학적 모색-시론-이다. 현실과 강단의 긴장을 느낄 수 있는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