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 경영 패러다임 -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경영 전략
정현경 외 지음 / 지식과감성# / 202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이슈가 되는 것 중에 하나인 ESG에 관한 책이라 서평단을

신청했는데 이렇게 책을 받을 수 있었네요.


책은 PART 1 ~ PART 5으로 나눠져 있으며

각 PART별로 세부적으로 구성이 되어 있네요.


PART 1. ESG 개념과 시대적 흐름

시작은 ESG 개념에 대한 이해로 시작을 하는데

ESG가 환경, 사회, 지배구조를 의미하며

기업의 지속 가능성과 사회적 책임을 평가하는 핵심 요소라고 하네요.

과거에는 기업 평가가 투자 규모나 수익 찿출 등 재무적 지표에 집중되었지만

기후변화, 환경 보호, 사회적 책임에 대한 괌싱이 높아지면서

비재무적 요소 또한 핵심 척도로 인식되고 있다는 점에서

기업을 평가하는 기준이 더 늘어나고 관점이 많이 바뀐 것을 알 수 있네요.


PART 2. 기후 변화와 환경 대응 전략

기후 변화 이야기를 하면서 시작은 탄소 중립의 개념 정리부터 시작하는데

1990년대 후반부터 등장한 개념으로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거나

배출된 만큼을 흡수 또는 상쇄하여 실질적인 배출량을 "0"으로 만들어

균형을 맞추는 기후변화 대응전략이라고 하네요.

2000년대 초반부터 기업과 국가들이 이를 선언하면서

탄소 중립은 점차 기후변화 대응의 핵심 개념으로 기반이 구축되고 있다고

하는데 넷-제로를 많이들 선언하는데 실제로 이것을

목표대로 이룰 수 있을것인지 궁금하네요.


PART 3. ESG 공시 및 가이드라인

ESG는 기후 변화 대응, 사회적 책임, 기업의 투명한 지배구조 강화를

목표로 다양한 글로벌 협약과 이니셔티브가 마련되었으며

기업과 투자자들은 이를 실천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고 하네요.

글로벌 협약과 이니셔티브는 ESG 경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개념과 목적, 실행 방식에서 차이가 있고 ESG 협약은

글로벌 지속가능성 목표를 설정하고 법적 기반을 제공하며

글로벌 이니셔티브는 이러하 협역을 실천할 수 있도록

기업과 조직의 자발적 참여를 권장하는 역할을 한다고 하네요.

PART 4. ESG 경영전략과 실행체계

ISO의 개요로 역사와 설립배경부터 시작이 되네요.

국제표준화기구는 1947년 공식 출범한 국제 표준화 기구로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붕괴된 산업과 무역 시스템을 재건하고자 하는

국제적 필요 속에서 설립이 되었다고 하네요.

그리고 국제표준화기구 설립 배경과 발전 과정이 이어지네요.


PART 5. ESG 보고서와 커뮤니케이션

마지막으로 지속가능성보고서의 개념과 필요성이 이어지는데

기속가능성보고서는 기업이 환경, 사회, 지배구조 측면에서 수행한

활동과 그에 따른 성과를 이해관계자에서 투명하게

공개하는 문서로 재무 정보만으로 설명할 수 없는 기업의 지속가능성과

비재무적 가치를 전달하며, 투자자∙소비자∙규제기관 등과의

신뢰를 구축하는 핵심 수단이라고 하네요.

지속가능성보고서라는게 유형과 무형의 많은 것들을

정리해서 나오는 보고서이기에 작성하기도 쉽지 않고

보고서를 읽는 입장에서도 많은 지식이 필요하다는 생각을 하면서

책을 마무리 했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