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기를 휘두르다 - 내 인생을 바꾸는 읽고 쓰고 실행하는 법
북크북크 지음 / 청년정신 / 202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부터 확 끌려서 서평을 신청했는데 이렇게 좋은 기회가 생겼네요.


차례를 보면 전체는 1~3부 그리고 그안에 소제목으로 구성이 되어 있습니다. 차례를

보면 많아 보이지만 책크기도 들고다니기 좋게 작고 누구든 부담없이 읽을 수 있어서

좋은거 같네요.


시작은 책한권으로 인하여 작가의 인생이 바뀌게 된걸로 시작합니다. 대부분은 인생에

있어 큰변화를 겪는 계기가 대부분 없지만 작가는 책 한권을 만나면서 인생이 바뀌게된 경험을 책을 통해서 알려줍니다.


다음으로 책을 읽으면 삶이 바뀌는 이유에 대해 알려주는데 생각해보면 우리가 흔히

성공을 한 사람들을 보면 책을 읽지 않는 사람이 없으 독서광인 경우도 많은데 이거에

대해서는 우리가 다시한번 생각을 해볼 필요가 있는거 같네요.


작가는 내게 맞는 책에 대해 설명을 해주는데 이거는 한편으로 맞기도 하지만 책을 읽는 목적에 따라서 다를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책을 고르는데 있어서 하나의

기준으로 본다면 분명히 도움이 될 수 있을꺼 같네요.


대부분의 사람들이 흔히하는 말이 시간이 없어서라고 하는데 관심이 있고 좋아하는

일이라면 절대 할 수 없는 말인거 같네요. 가끔 다른 사람을 보면서 어떻게 그걸 다해?

이렇게 묻는 사람들이 있는데 독서뿐만 아니라 연애나 운동도 절대적인 시간을 만들어야만 할 수 있는거 같네요. 어떤 일이든 노력없이 할 수 있는건 없으니까요.


독서 난이도의 경우에는 개인별로 차이가 너무 큰거 같은데 예를 들어 내가 하고 있는

일이나 전공분야는 전문서적도 가능하지만 전문분야가 아닌경우에는 누구나 쉽게 읽을 수 있는 책이 좋은거 같네요. 작가가 책에 적은대로 자기계발이나 에세이는 누구나 쉽게 읽을 수 있는 책인거 같네요.


매일 퇴근 후 휴대폰으로 동영상이나 SNS를 하는걸 독서나 전자책을 보는 습관으로

바꾼다면 분명히 한달 그리고 1년이라는 시간이 지나면 엄청난 책을 읽을 수 있을것이라는걸 작가는 직접 체험을 통해서 알려주는데 저 역시도 여기에는 동감을 하게 되네요.


책을 읽는데 있어서 장소나 시간을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는데 이거는 진짜 격하게 동감을 하게 되네요. 내가 편한 장소라면 어디든 상관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요즘은 아닌데

첫째의 경우 책을 읽다가 화장실에 갈때도 책을 가지고 가서 너무 오래 앉아 있을정도였으니 성인이라고 못할 일은 아닌거 같네요.


독서를 많이 하다보면 이게 진짜 중요하다고 생각이 드는데 모두에게 인기 있고 많이

읽는 책이라고 해서 나에게 꼭 도움이 된다고 할 수는 없으니까요. 작가의 경우 미리

책에 대한 정보와 서평을 먼저 보는것을 알려주는데 생각해보면 우리가 물건을

살때에도 리뷰나 정보를 찾아보는데 책도 당연히 그래야한다는 생각이 들었네요.


이것 역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데 생각으로만 하는거보다 직접 목표를 메모하게 되면

좀 더 구체적으로 이뤄지는 효과를 볼 수 있다고 생각하네요. 모든걸 이룰 수 있을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겠지만 글을 적는것과 적지않는것의 차이는 진짜 큰거 같네요.


생각해보면 책을 읽는 사람도 많지 않지만 그런 책을 쓰는 작가는 훨씬 더 적다는걸 책을

읽으면서 생각하게 되었는데 지금은 그래도 이전보다 책출판에 대한 접근성이

좋아졌기에 이전보다는 훨씬 많은 분들이 책을 내는거 같네요. 지금 당장은 아니지만

나도 책을 내면 안되는것도 아니기에 일단 책을 읽는것부터가 먼저인거 같네요.


작가는 글에대해 책에서 알려주고 있지만 다르게 생각을 해본다면 내가 하고 싶은것

그리고 해야하는것이 있다면 뭐든지 꾸준히 매일 하는것이 중요하다는 생각이 드네요.

저 역시도 운동을 매일 하는게 이제는 습관으로 자리잡았는데 목표나 목적이 있다면

매일 하는게 더 쉬워지지 않을까하는 생각이 드네요.


꼭 책이 아니라도 누구나 글은 쓸 수 있지만 사람들의 시선을 모을 수 있는 글은 아무나

쓸 수 있는데 아닌거 같네요. 예를 들면 카피라이터 같은 직업을 가진 분들은 단시간에

사람들의 시선을 모아야하지만 우리는 그럴 필요까지는 없으니까요.


전자책이라는걸 통해 책을 만드는것이 훨씬 쉬워졌다고 생각하지만 이것 또한 쉬운일은

아니라고 생각이 드는데 작가는 모임을 통해 만난 사람들이 실제 전자책을 만드는걸 보고

자극을 받아서 전자책을 만들게 되었고 온라인에서 마치 명함과 같은 존재라는걸

알려주고 있습니다.


이건 누구에게나 해당이 되는거 같은데 작은 목표를 세우고 이뤄가게되면 결국은 큰

목표도 이룰 수 있다고 생각하는데 쉽게 생각할 수 있지만 쉽지 않다고 생각하네요.

당장에 이걸 해야지 생각하지만 바로 실천하고 계속 이어서 하는 사람은 많지

않으니까요.


제목의 글귀가 너무 마음에 들었는데 한계를 정하지 말고 한개를 더하자가 확 눈에

들어왔네요. 누구나 한계를 나도 모르게 정하는거 같네요. 특히나 일반적인 교육을 받고 학교를 다니고 사회를 나온 사람은 더 그럴꺼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그 한계를 깰 수

있다면 부족하다거나 평범하다고 생각한 나 자신을 더 발전시키고 큰 사람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독기를 휘두르다 : 네이버 도서 (naver.com)


이 서평은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