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약
킴 & 크리킷 카펜터.다나 윌커슨 지음, 정윤희 옮김 / 열림원 / 2012년 3월
평점 :
품절


사람을 살아가면서 찾아 오는 사랑은 어린시절부터 시작하여 결혼하는 순간까지 계속 사랑을 찾으며 또는 사랑을 하며 살아가고 있다.

성장을 하는 동안에 하는 순수한 첫사랑 ....

결혼을 하려는 마음을 먹게 하는 사랑이 아마도 마지막 사랑이 아닐까 싶다.

영화로도 만들어 졌다는 서약을 난 아직 보지 못하고 책으로만 만나보게 되었다.

여기 킴과 크리킷은 운명적인 만남은 다른 사람들처럼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전화를 통해 관심을 갖게 되어 킴의 전화로 시작이 된다.

밝고 상냥한 크리킷의 목소리에 반해 전화 통화를 하면서 가까워 지기 시작하여 만남을 갖는다.

설레임으로 시작한 만남이 서로에 대한 끌림과 신뢰로 인해 결혼을 하게 된다.

킴이 크리킷에게 청혼을 할 때 죽음이 갈라 놓을 때까지 절대 헤어지지 않고 서로을 지켜주기로 서약을 한다.

행복한 결혼 생활을 시작한 둘은 추수감사절휴가를 지내기 위해 처가집으로 가다가 교통사고를 당하게 된다.

사람이 살기 힘들만큼 차는 부서지고 크리킷은 뇌손상을 심하게 입는다.

뇌손상으로 인해 남편인 킴을 알아보지 못하고 결혼 했다는 사실조차 믿지 못한다.

킴 또한 많이 다쳤지만 크리킷의 부상이 너무 심해 자신을 돌보기보다 크리킷을 위해 헌신한다.

자신을 알아보지못하는 그녀를 위해 그녀의 몸이 회복되는 것만 생각하며 살아 간다.

시간이 흘러도 알아보지 못하는 크리킷을 보며 죄절도 하고 슬퍼도 하지만 단 하나 자신과 크리킷이 살아있음에 감사하며 버거운 삶을 지탱하며 살아 가는 킴의 모습이 사랑을 다시 한번 생각하게 만드는 시간이었다.

그렇게 잃어버린 기억을 찾지 못하는 크리킷은 자신의 곁에서 헌신하는 킴의 모습을 보며 다시 연애하는 마음으로 다시 관계를 시작하고 두번째 결혼을 하게 된다.

책이 실화를 바탕으로 해서 와 닿는 이야기가 많지만 다소 지루한 감이 있으며 종교적으로 내용을 풀어가는 모습에 약간의 거부감을 느꼈다. 삶을 살면서 믿음도 중요하지만 사람에 대한 신뢰가 있다면 종교적인 믿음이 먼저이진 않다고 본다.

인간의 삶으로 바라보는 그들의 사랑은 물질이 편리함이 세상을 지배하는 지금을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되었다.

지금 내가 함께하는 사람에게 마음을 다해 사랑하는 것이 얼마난 중요한 일인지 깨닫고 주어진 삶을 충실하게 살아야 겠다라는 생각이 들었다. 좋은때 함께하는 사람이 되는 것 보단 힘들때 힘이 되어 줄수 있는 사람으로 곁에 있어야 겠다라는 생각을 하고 좀 더 사랑하는 마음으로 사람들을 보야야 겠다.

어차피 한번 뿐인 인생이니까...

그리고 많이 사랑하고 많이 아끼며 살아야 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