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그 천년의 이야기 - 상식으로 꼭 알아야
김동훈 지음 / 삼양미디어 / 201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예전 학교 다닐때 전공 시간에 건축에 대해 배운적 있다.
세상의 모든 건축까지는 아니더라도 세기에 거쳐서 만들어진 건축물들을 배우면서 언젠가는 다는 아니더라도 곡 보고 싶다란 생각을 했다. 사진상의 건물들은 현실적으로 와 닿지않아서 얼마만큼의 웅장함이나 크기를 가늠 할 수 없기에 그저 건축물을 시대적 배경이나 양식등만을 배우고 넘어갔는데 몇년전유럽을 여행할 기회가 되어서 그곳에 갔을때 책에서 배웠던 몇가지 건축물들을 보면서 사진과는 다른 웅장함과 성스러움 그리고 인간이 어떻게 이런걸 많들었을까라는 생각에 많이 놀랬었다.
시간을 거슬러 올라간 건축물일수록 과학으로 설명할 수 없을만큼
크기에서나 정확함에서 지금 과학이 발전된 지금시대에서도 만들어 낼 수 없는 스핑크스나 그리스 신전등은 인간이 만들었다기엔너무 거대하다.
기원전에서 부터 시작한 건축물들의 역사를 거슬러 오면서 만들어지는 새로운양식들로 인해 건축물들의 디자인들이 조금씩 바뀌면서 나라별로 시대별로 위대한 건축물들은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잘 보호 받고 있다.
파리의 노트르담 성당도 책어세 보았을때와 직접 눈앞에 있는 느트르담 성당을 웅장함과 아름다움 그곳의 경관들은 지금도 잊을 수 없을만큼 아름다웠다.
그리고 로마의 포로 로마노나 콜롯세움, 성 베드로 대성당등과 같이 시대를 거쳐 오면서 완성된 건축둘들은 건축가들에 의해 처음과는 다르게 조금씩 시대를 반영하여 만들어지고 완성도가 높아 진다.
성 베드로 성당안의 미켈란젤로가 만든 '피에타'는 정말 사람 같아서 마리아의 슬픔을 고스란히 느낄 수 있을만큼 사실적이고  내부의 웅장함은 잠깐동안 그곳을 걸으면서 구경한 것으로는 완벽하게 보고 나올수가 없을만큼 거대하였다.
그리고 프랑스 파리의 베르사유 궁전은 화려함의 극치를 달릴 만큼 내부가 화려하고 웅장하다.
화려함의 극치를 달린다고 해야할까. 베르사유 궁전을 모방한 또 다른 건축물이 있을만큼 잘 만들어진 궁전이라는데 언젠가 한 번더 볼 수 있는 기회가 생겼으면 좋겠다.

 
5단락으로 나뉘어진 건축의 역사를 읽으면서 내가 접해보았던 유럽의 건축사나 한국의 건축사는 빨리 와 닿았고 특히 문명적으로 거리가 먼 이슬람이나 힌두문화에 자리 잡은 건축물들은 아름다움은 다른 건축물과 같지만 알려지지 않아 모르는 것 투성이였는데 이 책을 통해 알게 되었다.
그리고 건축물들의 발전 상황을 보면 종교적인 영향으로 인해 더욱 발전한 듯 싶다. 지금도 보존되어지는 건축물들 중에 상당수가 종교적인 건물들이 많은 것처럼...
그리고 건축이 발전된 만큼 그 먼시기에 과학 또한 발전되었다는데 그것들을 잘 보존하고 발전했다면 세상의 모습이 지금과는 다를 것 같다.

 
시기적으로 발전한 위대한 건축물들의 잘 보존되어야 하는데 부실하게 보존되서 지금도 어딘가에서 조금씩 사라져가는 문화유산이 아쉬울 뿐이다.
세월을 거스르면서 지금까지 지켜온 것이기에 후세에도 물려줄 수 있도록 잘 보존 되길 바래보며 나중에 기회가 된다면 이 책에서 보았던 건축물 중에서 몇가지는 꼭 눈으로 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