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fe 라이프 - 카모메 식당, 그들의 따뜻한 식탁 Life 라이프 1
이이지마 나미 지음, 오오에 히로유키 사진 / 시드페이퍼 / 2010년 4월
평점 :
절판


맛있는 음식을 싫어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이다.
매일 3끼의 식사를 하면서도 유난히 맛있는 음식을 접했을 때의 뿌듯함이란...요즘들어 밖에서  먹을 기회가 많아서 매번 다른 음식을 먹으면서도 함께 먹는 사람으로 인해 기분이 좋아질때가 있다.
맛있게 먹어주는 사람으로 인해 음식을 만든 사람의 기쁨을 함께 누리는 것은 크나큰 기쁨이 된다.

 이 책을 만든 이이지마 나미님 역시 맛있는 음식을 좋아하는 것이 계기가 되어 음식을 만들기 시작했다는데 나 또한 맛있는 음식을 좋아하다보니 자꾸만 만드는 방법이 궁금해 질때가 많다.
그리고 음식을 내가 먹기 위함이 아니라 누군가와 함께 먹기 위한 요리는 만드는 순간 또한 행복해질 수 있는 순간으로 기쁨을 선사한다.

이 책에서 소개하는 음식들마다 테마가 있는데 엄마가 만들어주신 핫케이크라든가 아빠가 만들어주신 나폴리탄 스파게티등 음식을 만드는 레시피등이 정말 자세히 설명되어 있어서 읽으면서 나의 눈을 따라 음식을 만드는 느낌이 들 정도로 세세히 설명이 되어 있다.
사실 일본의 음식을 많이 접해보지 못해서 그곳의 생소한 양념이름과 우리나라와 다른 조리법들이 재밌기도 하고 무슨맛일까 호기심이 들기도 하지만 엄마의 마음으로 만든 요리라면 우리나라 요리처럼 담백하고 맛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요리와 더불어 음식의 추억을 작가마다 이야기 하였는데 요시모토 바나나가 이야기한 인도카레주인들의 사고는 조금 으스스했다고 할까....자신이 좋아하는 요리집 주인들은 자신이 알고 나서 얼마 후 죽었다는데...작가 또한 기분이 좋지 않았을 것 같다.
자신이 좋아 했던 요리인 카레를 만들어주던 사람들이 얼마후 다 죽어버렸다니...조금은 섬짓한 일이 아닐까...
그리고 오하기라는 단팥 주먹밥쯤으로 이야기 해야하나...이요리는 우리나라 생일때 만들어 준 팥고물이 묻은 떡처럼 느껴지지만 팥안에 밥이 들어가 있는게 틀린 점이다.밥과 떡의 느낌이 틀릴 것 같기도 하고 무척 달달한 밥일 것 같은 느낌이 드는데 문화권이 비슷해서인지 요리도 비슷한것들이 있다. 오하기란 것을 찾아 보니 떡으로 분류가 된다...정말 우리나라와 비슷한 요리다.
그리고 이요리의 특징은 엄마가 해주시는 것 보단 할머니께서 해 주신게 훨씬 맛있다는 점이다.

아직까지 일본요리를 많이 접해보지는 않았지만 책을 읽으면서 느낀점은 요리법이 다소 차이는 있어도 비슷한 요리재료를 사용하여 하기에 맛을 상상할 수 있었고 같은 문화권이어서 인지 비슷하다고 느껴지는요리들이 몇가지 있었다.
우리나라의 담백함과는 다르게 조금더 달콤할 것 같은 느낌이 들고 만들어 먹었을때느껴지는 거부감이 없을 만큼 재료들이 익숙하였다.
기회가 된다면 이 책에 나와 있는 요리를 만들어 보고 싶다란 생각을 하였다.
특히 주먹밥은 만들기도 간단할 뿐더러 날씨가 좋은 요즘 만들어 소풍가고 싶은 생각이 들만큼 다양한 재료로  새로운 주먹밥을 만들 수 있을 것 같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