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지 마, 죽지 마, 사랑할 거야 - 지상에서 보낸 딸과의 마지막 시간
김효선 지음 / 21세기북스 / 2010년 2월
평점 :
절판


'지상에서 보낸 딸과의 마지막 시간'이라는 타이틀을 보면서
푸르른 잔디위를 걷는 어린 소녀의 발위의 아름다움이 지상에서의 아름다움을 표현한 것이 아님을 알았다.
예전 '스무살까지만 살고 싶어요'라는 책을 읽으며 무척이나 울었는데 그 책은 주인공인 민초희가 라디오에 사연을 보내면서 자신의 상황과 병이 진행되면서 일어나는 자신의  모습을 담았다면 이 책은 엄마가 딸을 간호하면서 느끼는 엄마의 사랑과 사그라드는 딸의 모습을 지켜 보면서도 아무것도 해줄 수 없는 엄마로서의 무한히 주고픈 사랑을 줄 수 없음을 안타깝게 그려내고 있다.

 
김효선이라는 엄마작가는 삶을 무척이나 바쁘게 시간을 쪼개어 자신이 이루고자 하는 꿈을 향해 살아가느라 무척 바쁜 삶을 살아왔다. 각자의 삶이 전부라도 되듯이....
하지만 어느날 갑자기 자신이 속해 있던 자신이 이루고 가장 중요하다고 여기는 것들이 모두 하찮게 느껴지는 일들이 벌어진다.
가장 사랑하는 딸이 급성 백혈병에 걸리면서 하루의 삶이 행복이라고 느낄  새도 없을 만큼 바쁘게 본냈던 일상을 모두 접고 딸의 간병을 하기 시작을 하면서 삶을 되집어본다.
과연 무엇을 위해 살았는가를 반문하면서...
누군가의 생명이 사그라들면서 가장 많이 드는 생각은 자신이 해주지 못한 작은 일상의 행복을 다시금 떠올리며 자책을 하는데 이 책의 엄마 또한 자신이 일구어낸 것들을 생각하며 자신을 딸을 보듬고 키우지 못했다는 자책에 더욱 슬퍼한다.
슬퍼할 새도 없이 병은 점점 심해져 가는데 항암치료를 받는 고통은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가슴을 더더욱 아프게 한다.
그런 서연이의 병과의 싸움중에서도 엄마를 걱정하고 동생을 걱정하는 마음이 너무 아련하여 엄마의 마음은 해줄수 없는 것들에 처절한 아픔을 그대로 받아 들인다.
신앙의 힘과 주위의 사람들의 기도의 힘으로 서연이를 돌보며 더욱 강해지는 엄마의 힘이야 말로 서연이를 지탱한 힘이 아닐까 싶다.
백혈병을 치료함에 있어서 항암치료도 중요하지만 자신과 맞는 골수를 기증받은 것이야 말로 가장 중요하다고 볼 수 있는데 기증자가 많지 않아서 죽어가는 사람들이 많다고 한다.
서연이 또한 처음 기증 받으려 할때 자신과 일치하는 사람이 있었지만 기증을 하지 않아서 결국 골수이식을 하지 못하고 자가 이식을 하였다.
하지만 기쁨도 잠시 다시 재발을 하여 희망을 송두리채 빼앗기고 긴긴시간 병과 싸워야만 했다. 한번의 항암치료도 힘들다는데 5차까지의 치료를 받으면서 짜증한번 부리지 않고 견뎌내는 모습을 보면서 얼마나 울었던지....
그와중에 다른 사람들 마음 다치지 않게 배려해주는 모습이 너무 안타까웠다. 그렇게 서연이의 생명은 사그라들고 지켜보는 엄마의 가슴은 무너지지만 서연이 앞에서 만큼은 눈물을 흘리지 않으려고 애쓰는 모습이 엄마라는 존재라는 것을 느끼며 아무리 자식이 잘한다 해도 자식에게 모든것을 다 주려는 엄마의 마음은 따라가지 못한 다는 것을 다시한번 느꼈다.

 
읽고 난 후 생명의 소중함과 더불어 하루하루의 삶의 평범함이 결코 헛되지 않게 행복하게 지내도록 노력하여야 겠다는 생각을 하며 건강이라는 것은 건강할때 지켜야 하며 하루하루 감사하며 살아가는 마음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다시한번 느꼈다.
누군가의 아픔을 읽는 동안 지금 나의 삶이 커다란 축복이라는 이기적인 생각을 하면서 서연이가 하늘나라에 가서 아프지 않고 행복하길 기도하여 본다.
그리고 서연이의 남아있는 가족들 또한 아프지말고 건강한 삶을 살아가길 살며시 바래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