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의 사랑 이야기 - 깨달음의 나라 인도가 전하는 또 하나의 특별한 선물
하리쉬 딜론 지음, 류시화 옮김 / 내서재 / 2009년 11월
평점 :
품절


사랑이란거 세상에 태어나 한번쯤은 해보지 다 해보았을 것이다.
하지만 사랑을 하고 있음에도 사랑을 정의 내리는 만큼 어려운 일도 없다. 그저 사랑이라는 것을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 하고 싶다는 것으로 정의 하기에는 뭔가 다른 것이 들어 있을 것 같은데 그걸 말로 설명하기가 무척이나 어렵다.
나 또한 사랑을 하고 있으면서도 사랑을 설명하기엔 무언가 부족함을 느끼고 있었다.
이 책을 읽으면서  지금 내가 하고 있는 사랑에 대해서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되었다.
얼마전에 동생과 말다툼을 하면서 동생이 한 말중에 사랑을 하면 세상이 아름다워보여 모든이에 긍정적으로 변해 주위의 사람들에게도 사랑을 준다는데 나의 모습은 그렇지 않다고 핀잔을 준 적이 있다. 나도 사랑을 하고 있지만 내 사랑만이 눈에 보여 주위를 살필 여력이 없다고만 생각했는데 진정한 사랑을 하는 사람들 눈에는 내가 사랑하는 사람 뿐만 아니라 주위의 사람들에게도 따스함을 전파하는 가보다.
어쩌면 너무 이기적인 모습으로 사랑이라는 굴레를 쓰고 있었던것 같다.
 인도의 네가지 사랑 이야기중에서도 그런 이야기들이 나온다.
사랑을 하는 사람만이 행복한 것이 아니라 그 주위에 행복을 전파하는 모습과 그들에게 사랑을 나누어 주는 모습이 어쩌면 진정한 사랑을 하는 사람들의 모습이 아닐까 싶다.

 
첫번째 이야기 소흐니와 마히왈의 이야기는 도자기를 보면서 도공을 생각하던 마히왈이 도공을 찾아가서 도자기를 만든 여인 소흐니를 보고 반한다. 그곳에서 소흐니를 보기 위해 지내게 되는데 그녀의 모습을 보기 위해 도자기를 사러가고 그녀를 만날 수 없으니 점점 폐인으로 변해간다. 다른건 하나도 바라지 않고 오로지 소흐니만을 바라보다 결국 그녀도 그의 사랑을 알게 된다.
그렇게 사랑하는 사람을 만났지만 마히왈은 이미 결혼한 몸이었기에 소흐니 부모는 자신의 명예를 위해 소흐니를 결혼 시키게 된다...그들의 삶은 늘 한결같았다.
결혼전이나 결혼후나..다른사람들에게 사랑을 전파하고 욕심을 버리고 묵묵히 삶을 살아낸다.
그렇게 살아낸 삶을 나중엔 아름다운 사랑으로 사람들에게 칭송을 받게 된다.

 
"우리는 단지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할 뿐이오. 결과는 우리의 손에 달린 것이 아니오." 

 

 두번째 이야기 사씨와 푼누는 사씨는 태어날때 운명이 이미 자신의 집안의 명예를 떨어뜨린다고 나와서 아버지에게 버림을 받는다. 강가에 띄워 보낸 사씨는 마흐무드의 손에 길러지게 된다. 아이가 없던 터라 귀하고 아름답게 키워낸 마흐무드는 사씨를 진정 사랑하여
아름다운 사람으로 키워 낸다. 그리고 우연히 마크란의 왕자 푼누의 존재를 알게 되고 사랑을 하게 된다.
혼자서 짝사랑을 하며 사랑을 키워나가는데 멀리서 들려오는 소리를 확인하기 위해 푼누가 사씨가 사는 곳으로 찾아오게 된다.
다른사람들이 보기에도 너무 아름다운 사랑을 하지만 그들에게
찾아온 시련을 이겨내지 못하고 결국 죽어서 하나가 되어 헤어지지 않는다....

 
여기에 나오는 사랑의 이야기들은 결코 행복하지 않다.
행복옆 슬픔은 늘 함께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끝까지 자신에게 주어진 사랑을 지키기 위해 마지막 희망을 불살른다.
고통을 이겨내고 죽음을 맞이하고서라도 자신이 하는 사랑을 지키기 위한 노력이 너무 아름답다.
그렇게 사랑하기가 쉽지 않기에 이 사랑들이 지금까지 불멸의 사랑으로 내려오는 것이 아닐까....
그렇게 사랑하는 사람을 만났다는 것만으로도 어쩌면 행복을 찾은 게 아닐까....
지금 하고 있는 사랑이 힘들고 고통이 따르더라도 삶은 공통만이 있는 것이 아니다.
고통옆에 따라오는 행복을 바라보면 함께 이겨나가야만 아름다운 사랑의 열매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