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식으로 꼭 알아야 할 세계의 전설 : 서양편
아침나무 지음, 이창윤 그림 / 삼양미디어 / 200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린시절 동화책을 좋아했던 나는 많은 환상의 이야기들과 함께 자라났다.
지금도 동화책을 읽으면 어린시절의 읽었던 기억들이 새록새록 떠오르며 다시 한번 그시절로 돌아가는 것을 느낀다.
동화를 읽다보면 내용은 비슷하지만 시대적 배경이나 주인공의 이름들이 다를 때가 있다.
일 예로 신데렐라와 콩쥐팥쥐의 이야기상 맥은 거의 비슷하다...
누군가가 베껴썼다고 말하기에는 조금은 애매한 이야기라고 해야 할까...
전설이나 신화는 그저 옛날부터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인데도 동서양으로 나누어봐도 비슷한 이야기가 있는데 이 책의 내용들을 읽다보면 모든 동화의 원작을 만난 듯한 느낌이 든다.
먼저 책은 8개의 나라별로  나뉜다. 맨처음 나오는 단락은 영국의 전설인데 가장 유명한 이야기는 어린시절 좋아했던 신데렐라와 백설공주 로빈 훗의 이야기다. 만화로 가장 많이 만들어진  이야기이다.
[이끼로 만든 옷]이라는 제목으로 나오는 전설의 이야기는 신데렐라의 원작쯤으로 보면 된다. 원작과는 다소 다르지만 좀 더 현실적이라고 해야 할까...
현명하고 적극적인 여주인공이 나온다. 그리고 백설공주의 원작 [금나무 은나무]에서는 새엄마가 아닌 친엄마가 딸을 죽인다는 이야기에 조금은 놀랍기도 하다.
독일의 전설에서는 [하멜른의 피리부는 마법사]의 이야기가 나오고 [파우스트 박사의 전설]등 조금은 으시시한 이야기가 많다.
프랑스의 전설을 읽으면서 아름답다고만 생각했던 나라의 전설은 다소 끔찍하리만큼 무서운 것과 어린시절 만화속 주인공 [아서왕]을 만나게 된다. 어린시절 [푸른 수염]을 읽으면서 끔찍하다고 생각했었는데 지금 다 커서 읽어도 끔찍한것이 남는다.
북유럽의 전설을 다소 생소하여 재밌게 읽었는데 [귀신을 업은 소녀]는 겁도 없는 소녀의 맹랑한 이야기라고 해야할까...귀신에게 가서 말을 전하고 그리고 귀신의 가슴에 담아두었던 일을 해결하여 주고 상금을 받는 모습이 장화 홍련의 이야기 맥락과 비슷하였다.
단 원님이 소녀랑 같은 일을 해준다는 것이 다를 뿐....
이렇듯 나라마다 조금씩 다른 모습의 전설을 가지고 있으며 시간이 흘러 그것을 원작으로 하여 많은 책과 음악들이 나오는 계기가 된다.

 
몇년전에 읽었던 반지의 제왕에서의 괴물이라고 말하기엔 애매한 녀석들이 많이 나오는데 이 역시 전설의 주인공들이었다. 트롤이라든가 엘프등은 책안에서 많이 만났던 주인공들이었다.
그리고 우리가 흔히 죽으면 황천길 간다고 하는데 우리나라만이 배를 타고 강을 건너 죽음의 공간으로 간다고 생각한 것이 아니라 다른 지역의 사람들 또한 강을 건너 죽음의 세계로 간다고 생각을 하였다.특히 인디언들의 죽음에 대한 생각은 우리나라와 거의 비슷하다. 이렇게 책을 읽으며 새삼 다 커서 동화책을 읽은 듯한 느낌이 무척이나 새롭고 나라마다 조금씩 다른 이야기들에 매력을 느꼈다.
그리고 모든 동화의 마지막은 거의 비슷하다는 것....
욕심을 부리면 망하고 착하게 살면 행복하다는 것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모두가 똑같은 결론이었다....
다시한번 어린시절로 돌아가 재미난 책을 만난 기분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