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갱 : 원시를 향한 순수한 열망 마로니에북스 Art Book 15
가브리엘레 크레팔디 지음, 하지은 옮김 / 마로니에북스 / 200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년 여름 오르세미술관 그림이 우리나라에 들어 온다는 말을 듣고 한가람 미술관에 갔었다.
혼자 미술관 가는 것을 좋아하는지라 그날도 혼자 조용히 그림을 관람하려는 욕심에 아침 일찍 나섰다.
생각보다 사람은 엄청 많았지만 그래도 그림들이 좋아서 참으로 기억에 남던 전시회였는데 그때 딱 한점 고갱의 그림을 보게 되었다.
처음 만나게 된 고갱의 그림은 작지만 강렬한 색채와 더불어 단순하게 표현된 알려진 제목으로는 타이티의 여인인 '해변에서'라는 작품이었다.
색의 강렬함과 더불어 그안의 여인들의 다듬어어지지 않은 아름다움이 무척이나 인상에 깊이 남았었다.
그리고 무표정의 여인들의 표정에서 묻어나는 우울함이 인상이 깊었다.

 
워낙 그림을 좋아하지만 특히 좋아하는 화가가 고흐라서 고흐의 편지를 읽다보면 간간히 등장하는 친구중에 고갱이 포함되어 있는데 둘의 친구사이지만 절교하게 된 사연까지 알고픈 마음에 이 책을 읽게 되었는데 고갱의 일대기와 함께 고갱의 화풍이 변화하는 모습과 고갱 주변의 사람들에 대한 설명까지 있어서 보기가 너무 좋은 책이다. 

 
세상에 태어나서 청년기를 거쳐 고갱은 증권거래소에 취직을하게 된다.
취미활동으로 그림을 그리다 아내 메테 소피 가드를 만나 결혼을 하게 되어 가정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자신의 집에 화실을 만들어 그림을 그린다.
그림에 빠지면 빠질수록 메테는 불안해 하며 아버지 가장으로서의 의무를 실어주는데 오히려 그것이 역효과를 내며 멀어지게 만드는 계기가 된다.
그렇게 점점 그림에 대한 열정이 커져만 가는데 그림을 그릴 수 있는 곳이라면 어디든지 옮겨 다니며 자신의 그림에 열정을 쏟아낸다.
그의 그림의 변화 또한 뚜렷하여 처음엔 인상파적인 그림들이 단순화 되어가면서 자신의 그림색을 찾아 표현하며 나만의 세계를 구축한다.
고갱의 그림의 변화를 보면서 그의 삶 역시 그림의 변화와 함께 변해가기 시작한다.
그림을 그릴수록 자신의 가족과 멀어지고 그림만을 그리며 생활하기에 생활고를 겪는다.
생활고를 해소하기 위해 전시회를 열기도 해보지만 형편없는 평을 듣기도 하고 그림은 팔리지 않는다.
그렇게 고갱은 그림을 그릴 수 있는 자신이 원하는 장소를 찾아 옮겨다니며 좀 더 원시적인 곳을 찾아 떠난다.
그의 그림에 나오는 모델 역시 장소가 바뀔때마다 바뀌며 그의 그림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그렇게 그림을 그리다 마지막 은둔생활을 하며 1903년5월8일에 세상을 떠난다.
많은 다른 화가들에게 영향을 미치며 자신의 세계를 구축하고 떠난 고갱.....

 
천재적이라고 말할 수 있는 화가들의 삶은 그렇게 행복해 보이지 않는다. 단지 자신이 원하는 그림을 그린다는 것 외의 것들은 등안시 한채 살아가는 그들은 그렇기에 훌륭한 그림을 남기는게 아닐까 싶다. 마지막 삶을 얼마 남겨두지 않은 고갱의 그림의 들은 무척이나 슬퍼 보인다. 그림을 그렸기에 행복했지만 이면에 남아있는 감정은 무척이나 고독하고 외로웠던 건 아닐까...
강렬하고도 아름다운 색채와 감정에 따라 뿜어져 나오는 그림안의 사람들의 표정을 책으로만 만나본다는게 많이 아쉬웠다.
기회가 된다면 고흐의 그림과 함께 고갱의 그림도 실제로 만나보고픈 욕심히 생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