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남자 - 제138회 나오키 상 수상작
사쿠라바 가즈키 지음, 김난주 옮김 / 재인 / 200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해서는 안될 가장  처절하고 슬픈 사랑....

 

그래 이 책의 사랑은 처절하지만 하지 말아야 할 사랑의 존재를 그리고 있다.
세상엔 내가 원한다고 모든 사람을 사랑해선 안되는 그것을  이 책에선 그려낸다.
책은 현재에서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면서 시작을 한다...
시간에 따라 주인공과 그리고 또 다른 조연들이 등장한다.
그리고 그들과의 얽키고 설킨 인연이 등장하는데 그안의 인연중엔 꼭 만나야 될 사람도 있지만 만나지 말아야 될 사람도 있다.
그들과의 삶이 진행이 되면서 하나와 준고의 삶은 변화한다.
풀려고만 했던 실타래는 점점 더 엉키는데....풀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끊어 버려야만 하는 인연들....
그리고 돌이키기엔 너무 많이 시간을 지나 왔다.
하나와 준고...두사람은 만날 수 밖에 없었지만 만나지 말아야 할 사람이었다. 둘 다 평범한 가정과는 거리가 먼 상황에서 자랐지만 그 안에 가족과의 사랑이 빠졌기에 그들에겐 삶의 따스함을 찾아 볼 수 없었다.

 
책을 읽으면서 중간 즈음에 어느정도의 서평의 줄거리를 잡아 보는데 이 책을 끝까지 읽기 전엔 서평을 한 줄도 쓸 수가 없었다.
스토리 전개가 어떻게 될 지 읽어보지 않고는 알 수가 없었기에...
그런데 책의 흡입력은 굉장히 강하다.
어떻게 끝날 것인지 가늠할 수가 없었다.
인간이 태어나서 살아오면서 온전한 가족들과 함께 살면서 받아야 마땅한 사랑을 받지 못하면 저토록 비뚤어진 사랑을 하게 되는 것일까란 생각을 하면서 철저히 개인적이고 이기적인 준고에게 화가 난다.
자신이 받지 못한 가족안에서의 사랑을 어린 자신의 딸에게 받아야만 한다는 자체가 제대로 된 인간이라고 보기에는 어딘가 많이 부족한 사람으로 밖엔 보이지가 않는다.
아니 어쩌면 짐승일꺼란 생각을 해본다.
그리고 벗어나기 위한 몸부림을 치는 하나가 과연 벗어날 수 있을까란 생각을 한다.
인간은 어느 한사람과의 삶이 길어질 수록 그사람에게 길들여 진다.
벗어나기 위한 노력을 했지만 과연 자신의 과거를 모두 있고 준고에게서 벗어 날 수 있을까?
너무 익숙하기에....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면서 그들의 함께했던 시간을 들여다 보면 볼 수록 그들은 가족이란 형태가 아닌 한몸, 한사람이란 느낌이 들었다.
그리고 하나의 존재감이 느껴지지 않는 행동들이 자신의 행동을 숨기기 위한 방법이 아닐까....
분명 잘못된 것임을 알고 있지만 그것을 숨기기 위한 방편으로....

 
오호츠크해의 어두운 바다와 유빙이란 생소한 장소의 생소한 계절 생소한 것들 투성이 안에서 느껴지는 어두움은 이 책의 느낌과 같다.
유빙이 깨지면서 나는 소리 또한 그들의 인생의 잘 못된 삶을
비추는 것은 아닐까....
결코 밝음 보다는 어둡과 탁한 이 책을 읽으면서 이런 삶도 있구나...
세상은 밝기보단 그 밝음의 그림자 안에 어두움도 함께 가고 있다는 것을 다시 한번 느끼며...
하나나 준고의 삶이 진심으로 없기만을 바랄 뿐이다.
철저히 내남자란 아니 내사람인 것이 있을까...
이말 자체가 숨이 막혀 온다....
함께 나누면 공존 하는 것이지 한사람의 존재가 소유가 된다는 것은 억지 스럽다.
일그러진 사랑의 흔적들이 씁쓸하기만 하다.
결코 있어서는 안 될 사랑이지만 읽으면서 다시 한번 사랑에 대한 생각을 하게 된 그리고 가족과의 관계에대한 생각을 하게 된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