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조선이다 - 조선의 태평성대를 이룩한 대왕 세종
이한 지음 / 청아출판사 / 2007년 12월
평점 :
품절



 
역사책은 왠만하면 읽지 않는데 이책은 내게 쉽게 다가 왔다.

만원지폐에 그려져 있는 세종대왕의 일대기와 주위의 인물들 그리고 태종에 대한 이야기가 이해하기 쉽게 적혀있어서 읽는 내내 지루함을 느끼지 못했다.

세종은 그야말로 현명하고 사람의 재주를 높이 평가하여 많은 업적을 쌓은 왕이다. 태종의 셋째아들로 태어나 이미 정해져 있던 양녕대군이 폐하고 나서 세종이 즉위하게 된다.
신하들의 말에 귀를 귀울일줄 알고 나의 의견도 중요하지만 신하들의 의견을 듣기 위해 토론을 많이 하였으며 자신이 바꾸고자 함은 굽히지 않고 밀어붙이는 추진력 또한 강하다.

조선이라는 나라의 제도를 확립하여 사회적 제도나 교육 예절에도 중국의 것을 따르는 것이 아니라 조선이라는 나라에 편리한 것만 따르며 가장 중요한 업적인 나라글을 만들었다. 하지만 책에 의하면 나라의 글을 만든것 보다 더 많은 업적을 세종은 남겼다.

인재를 양성하고 교육하고 인재의 재능을 최대한 살려서 인재들과 더불어 나라발전에 크게 기여했다.하지만 세종이 죽고 난뒤 조선의 뒤어난 기술도 인재도 사라지고 말았다. 모든것이 그대로 이어졌더라면 더 많은 발전과

더불어 나라 또한 강해졌을텐데 모든것이 세종때만 완벽했고 그뒤는 없었다.
세종의 부인과 후궁들 그리고 세종의 건강까지 알게 되었고 나라를 다스리고 공부를 계속 했기에 건강까지 헤쳤다고 한다.

 

이책을 읽으면서 세종에 대해 다시금 알게 되었고 왜 대왕이란 말이 붙어서 다니는지 알게 되었다.
모든일을 완벽하게 하기위해 자신이 모범이 되었고 늘 공부를 하면서 일에 대한 깊은 지식을 갖기에 다른 사람이 따라갈 수없을 만큼의 자리에 오르지 않았나 싶다.

가장 높은 자리에서 가장 위대한 윗사람의 모습을 가진 세종대왕이 우리나라에 한명 더 있었다면 나라가 좀 더 강해지지 않았을까 싶다. 자신의 아들들이 그렇게 많았는데 후대에선 아들들이 아버지의 훌륭한 업적을 발전시키지 못하고 오히려 아버지대에서일어나지 않았던 왕자의 난이 일어나게 된다.
세종이 너무나도 훌륭했기에 세종을 따라하려는 왕은 많았으나 세종을 능가하는 왕은 없었다.많은 발전이 있기 위해서는 윗사람의 노력이 정말 많이 필요한 것 같다.

그렇기에 끝까지 노력을 아끼지 않았던 세종이 더더욱 위대한게 아닐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