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사랑 파사랑
다이도 타마키 지음, 이수미 옮김 / 현문미디어 / 2007년 12월
평점 :
절판


19세 어른도 아니고 어린이도 아닌 상태...

다 자랐다고는 하지만 덜자란 상태.

알지만 모르는게 많은 상태 .

나의 19세는 어땠는지 생각하게 해주는 소설이다.

소설속 주인공들보다 더 어리고 생각이 덜자란 상태였고

열정이 부족했던 시기 였다.

무엇을 해야할지 어떻게 살아야 할지 막 생각하는

단계였다고 해야 할까...

 

네가지 이야기를 읽으면서 일본소설 특유의 나른함과 무심히 흘러가는 일상의 느낌을 섬세하게 표현한 인간의 감정과 조금씨 알아가는 세상을 섬세하게 그려낸다.

 

첫번째 이야기인 지마키에 대하여는 어른인 무가씨와 중학교를 졸업하고 독립을 하고 고등학교를 가지않고 독립을 해서 혼자사는  지마키의 소소한 일상과 주위사람들과의 관계속에서 자신의 위치 내가 좋아하는 것에대한 고민을 하는 지마키가 커가는 모습을 그렸다.

느껴지는 건 조금씩 마음이 자라는 모습과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찾아가는 모습 그리고 지켜봐 주는 어른들....

 

"손바닥에 불그스름한 물집이 생겼다. 이제부터는 무든지 자유롭게 할 수 있을것 같은 느낌이 든다. 즐거운 일도 그게 정말로 즐거운지,

슬픈 일도 그게 정말로 슬픈 건지, 반드시 확인하며 살아가고 싶다. 뭘 하든지 어설픈데. 그래도 왠지 할 수 있을 것 같다. 뭘 하고 싶은지 전혀 결정한게 없기 때문에 더더욱 뭐든지 할 수 있을 것 같은 느낌이 든다."

 

두번재 이야기 소타에 대하여는 이혼한 누나와 할머니 조카와 함께 사는 소타군에 대한 이야기다. 여자친구미도리와 헤어지기로 하면서 일어나는 가족과 미도리 그리고 소타와의 이야기...

헤어졌지만 헤어지지 않은 상태로 지내면서 다른 여자친구도 만나보고 그러면서도 미도리와 지내는 소타는 싫지도 좋지도 않은 미도리를 시간이 흐르면서 미도리가 도쿄로 떠난다는 걸 알았을 즈음

헤어지기 싫다는 걸 알아버린다. 인간관계라는게 쉽사리 끊어지지 않는 무엇이 있다는걸 계절의 변화와 더불어 느낀다.

 

"우리는 왜 끝나지 않는 걸까? 한쪽이 식으면, 다른 한쪽이 뜨거워 진다. 아니, 양쪽 다 벌써부터 식었는데도 그 사실을 인정하지 않고 뜨거운 쩍하고 있다. 아니, 그 반대일지도. 하지만 결국 어긋난다. 계속 빗나가고 만다."

 

세번재 이야기는 후유오와 하루오에 대하여이다.

가장 재밌게 읽었다. 후유오와 하루오는 쌍둥이다. 옆집에 사는 세피아라는 혼형 소녀와 친구이고...둘다 허물없이 시내는 사이다.

학창시절 단짝같은 존재랄까....함께 지내며 가족처럼 두집을 오가며 지내는데 그런 일상속에서 떠나버리는 하루오...고등학교를 휴학하고 아바시리로 여행을 간다.하루오가 준 케사랑파사랑이라는 생물은 행복을 부르는 신비한 생물이라는데 케사랑 파사랑은 시카롤을 먹고 산다. 그냥 잔잔하고 친구를 만들고 지내는 과정이 이뻤다고 할까...자유롭지만 그안에서 자신의 꿈을 찾아서 천천히 가는 모습도 그렇고 가족과의 따스한 관계가 보기 좋았다.

 

마지막 이야기 쓰루기에 대하여는 고등학교를 졸업한 쓰루기의 애인과 지내면서 느끼는 남녀관계의 이야기랄까...유부남인 애인을 기다리면서 맛있는 요리를 하는 쓰루기의 모습은 과연 어떻게 보아야 할까? 애인에게 요구할 수도 없고 먼저 만나자고 말하지 않고 언젠가 떠난다는 것을 전제로 사귀는 쓰루기....

그렇다고 마음이 아프다고 느끼지도 않는다.

여자와 남자의 관계를 알아가는 과정속에서 무언가 찾는다기보다 그냥 지나가는  과정으로 받아들인다.

 

격정적이지도 않고 시간이 흐르면서 마음이 자라는 일상을 표현한 책이다. 그리고 아직은 살아갈 시간이 많고 꿈을 바꿀 수 있는 시간이 많은 시기여서 여러가지 느끼고 경험하는 시기에 일어나는 일상안에서의 변화를 섬세하게 표현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