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조의 비밀편지 - 국왕의 고뇌와 통치의 기술 키워드 한국문화 2
안대회 지음 / 문학동네 / 201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조어찰첩이 발견되었고, 연구가 시작되었으며 그런 연구를 바탕으로 몇몇 논문이 발표되었다는 소식을 작년쯤 들었었지만 전혀 관심이 생기지 않았었다. 왕이 남긴 개인적인 편지다 보니 관심을 갖는 것이 정상이겠지만 이덕일 선생님의 <한국사 그들이 숨긴 진실>이란 책에서 우리나라의 역사를 왜곡하는 "노론사관"을 이야기하며 "정조어찰첩"에 대한 잘못된 연구에 대한 이야기를 먼저 접해서인지 어째 출간되는 책들이 하나같이 믿음직스럽지 못했다. 이왕 역사책을 읽을 것이면 제대로 된 역사를 이야기하는 책을 읽어야지, 무조건 역사책을 읽어 머릿속에 집어넣는 것이 우선은 아니란 생각에 더더욱 정조어찰첩을 다루는 책들을 읽을 수가 없었다. 

그런 마음을 깨트려준 것이 문학동네의 "키워드 한국문화"시리즈였다. 서평단 도서로 <세한도>를 받아든 다음부터 얇으면서도 잘 모르던 역사에 대해 가르쳐주던 책에 반하게 되었다. 기왕이면 처음 "정조어찰첩"을 접하게 되는 책이 이덕일 선생님의 책이었으면 더 좋았겠지만이라는 생각이 들기도 했지만, 다른 역사가의 관점에서 시작하는 것도 나쁘진 않겠다는 생각도 들기에 "키워드 한국문화"의 시리즈 2권 <정조의 비밀편지>로 정조어찰첩에 대해 처음 만나기로 결정을 하였다. 

왕들이 직접 편지를 쓰는 일도 드물었고, 대대손손 왕의 편지, 즉 어찰을 보관하며 다시 궁으로 그 편지를 받쳐 벼슬을 얻던 조선시대에 성군이라 불리웠으며, 개혁군주였으나 제 뜻을 다 펼치지 못한 정조는 드물게도 많은 편지를 남겼다. 아직은 어린아이의 글씨인지라 서체라고 할 것도 없는 서투른 글씨의 원손예필을 비롯하여, 정치적으로 대립했던 사이임에도 심환지에게 보낸 수많은 편지를 남겼고, 그 편지를 통해 실록과 같은 공식적 기록에서 보였던 모습과는 다른 정조를 만날 수 있었다.  

다른 어떤 군주들보다도 많은 일을 했던 정조였기에 편지를 쓸 시간조차 부족했음에도 정치적 사안을 묻기 위해, 인사문제를 상의하기 위해, 그저 안부를 묻기 위해 심환지를 비롯하여 여러 대신들에게 편지를 보내고, 왕실가족들을 위해 편지를 썼던 그 편지들에서 만난 정조의 모습은 색달랐다. 성군이라고 하기에는 성미도 급하고, 화도 잘내는 스타일이었을 뿐만 아니라, 편지가 안온다고 독촉을 하며, 편지를 보내면서도 내용이 퍼질까 심하게 걱정을 하며, 편지를 없애는 방법에 대해서까지 캐묻는 어찌 보면 소심하게도 보이는 모습이었다.  

정말이지 일처리에 시간이 없어 편지를 가다듬을 수 없었기에 직설적인 말투와 사대부들의 편지에선 볼 수 없는 격식을 깨트린 한문과 언문이 섞인 편지가 남아있기에 정조의 일상적인 모습을 만날 수 있지, 만약 정조가 그런 시간부족에도 불구하고 편지를 가다듬었다면 여전히 우리는 정조의 성군같은 모습밖에 볼 수 없을 수도 있었을 것이다..  

게다가 편지를 받으면 모두 없애라고 했던 아버지의 말씀을 어긴 아들덕택에 <양반의 사생활>이란 책에서 양반 조병덕이 돈이 부족하다고 이야기하는 사소한 이야기까지 볼 수 있었던 것처럼, 정조의 계속된 당부에도 불구하고 정치적인 목적에 의해(안대희 교수님 추정) 편지를 남겨두었던 심환지에 의해 이렇게 <정조의 비밀편지>라는 이름으로 정조 어찰첩에서 볼 수 있는 정조의 인간적인 모습과 더불어 정치적인 모습까지 만날 수 있었다. 그런 점에선 왕의 명을 어긴 심환지에게 정말 감사할 따름이다.. 심환지가 정조를 독살했건 안했건간에 분명히 그는 역사적 자료를 후손에게 남겨주었으니 말이다..  

덧)) 이 책의 저자이신 안대희교수님께선 이덕일선생님의 정조독살론을 반박하며, 정조가 지병을 앓고있었다는 점이나 그가 아픔에도 위험을 무릎쓰고 독살을 할 사람이 없다는 점 등등을 들어 심환지가 독살을 한 것이 아닌 정조가 병사하였다는 주장하고 계신다. 처음엔 나역시 정조가 독살이 된 것이 아닌가 생각을 했었는데.. 책을 읽으면 읽을수록 역사학자들의 서로 다른 주장에 점점 헷갈릴 뿐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0-02-06 00:4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0-02-07 15:59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