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야 외 도스토예프스키 전집 2
도스또예프스끼 지음, 이항재.석영중 외 옮김 / 열린책들 / 2007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원래 외국 작품을 읽을 때엔 이름 때문에 조금 고생을 하는 편이다. 우리나라처럼 "김철수"이렇게 성과 이름이 딱딱 구분되면 좋을텐데.. 많이 읽어서 이젠 조금 익숙해졌지만 일본이름만 해도 "다나베 세이코"처럼 성과 이름이 구별이 되지않는다. 

 하물며 잘 읽지 않는 러시아 소설임에야.. 크게 마음을 먹고 읽기 시작한 도스토예프스키의 첫작품인 <백야>의 첫번째 이야기 "쁘로하르친"부터가 그랬다. 우스찌니야 페도로브나라는 어려운 이름이야 그렇다 치지만, 세묜 이바노비치씨라 했다, 이바노비치 쁘로하르친씨라 그랬다, 그냥 쁘로하르친씨라고 부르는 둥, 한 문장에서만도 이름이 여러번 바뀌니 정말 고도의 정신집중을 하지 않고는 읽는 내내 누가 뭘했다는지 이해할 수조차 없었다.  

그래서인지 이 책은 정말이지 3주동안이나 첫 3페이지를 못넘기고 계속포기할 수밖에 없었다.. (<죄와 벌>에서 자세히 설명을 해주기도 했고, 미리 한 번 겪어봐서인지 두번째 읽을 때엔 그나마도 이해할 수 있었다.. "이바노비치"라는 이름을 보곤 이반이란 이름의 아버지의 아들이라는 것을 바로 알아채렸으니 <죄와벌>을 열심히 읽은 거는 같다..)

그러다 보니 벌써 도서관반납일이 되어버렸고, 그냥 반납을 할 수 밖에 없었다. 완전히 포기한 것이 아닌, 그냥 도스토예프스키의 대표작인 <죄와 벌>을 읽고나서 다시 읽자라고 마음을 먹은 뒤 반납을 했었고, 그렇게 한달여의 시간이 지난 이제서야 그 결심을 지키고 있다. 보통은 한 번 포기한 책은 다시는 손에 잡지 않게된다. 하지만 그 유명한 도스토예프스키의 책이고, 그의 책이라곤 <죄와 벌>외에는 읽은 게 없으니 반드시 읽어야겠다는 결심으로 읽은건데.. 솔직히 말하자면 다 읽은 지금도 별다른 여운을 느끼지 못하고 있다. 

해설에서도 도스토예프스키의 작품치곤 혹평을 받은 단편들이라고 했던 것처럼 <죄와 벌>에서 느껴지던 그의 포스가 느껴지지 않았다. 잘못보낸 편지로 인해 아내가 다른 사람을 사랑한다는 것을 알게되고, 은행을 믿지 못하고 그 어떤 것도 믿지 못한 채 자신이 자는 침대에 돈을 숨겨두고, 다른 사람에게 고백을 했다 무참히도 거절당하는 모습 등등 낯설지 않은 모습의 사람들이었지만, 그래서인지 책을 덮고나니 딱히 기억되는 사람은 없었다.. 그나마도 표제작인 <백야>의 한 순간에 차여버린 불쌍한 남자와 첫번째 이야기였던 <쁘로하르친>씨의 모습만이 강렬했을 뿐이다.. 

아직은 내가 도스토예프스키의 단편의 매력을 느끼지 못해서이기도 하고, 다른 사람들의 평가처럼 그의 역량이 제대로 표현되지 못했을 수도 있지만.. 내 생각엔 아무래도 나의 소양이 부족한 것 같다.. 두번째 시도에서 겨우겨우 다 읽긴 했지만, 아무래도 도스토예프스키의 또 다른 작품인 <카라마조프의 형제들>이나 <악령> 등을 읽은 뒤 다시 한번 시도해야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