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적초 - 비둘기피리꽃 미야베 월드 (현대물)
미야베 미유키 지음, 김은모 옮김 / 북스피어 / 2009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미야베 미유키의 글은 재미있기는 하지만, 여운이 너무 길어 쉽게 다시 손을 대지 못하게된다. <스나크 사냥>을 읽었을 때에도 아버지의 한과 범인들의 파렴치함에 온몸에 소름이 돋으면서도 책을 손에서 놓지 못하고, 다읽고나서도 몇 번을 훑어보게 되었다, <모방범>때에도 3권이란 두툼한 분량이 압박을 하고, 조금은 지루해지는 부분도 있었지만, 마리코의 할아버지의 모습과 범인으로 오해받은 가즈아키의 모습을 보며 몇 번을 다시 읽게 되었다. 때론 사회의 부조리한 현실에 치를 떨게되고, 때론 인간의 사악함에 극심한 혐오를 느끼게 되기에 미미여사의 글은 조금은 무겁다고 생각이 되서인지 좋아하지만, 쉽게 손이 가지 않는 작가 중의 한 명이다, 

그런 부담감을 누르고, 얼마전에 출간된 무슨 의미인지 도무지 모를 <구적초>를 읽기 시작했다. 미미여사가 초능력자에 대한 글을 여러편 썼다지만, 나는 이 책을 통해 처음으로 초능력자에 대한 이야기를 접하게 되었다.  

첫번째 이야기인 <스러질 때까지>는 어릴 적 부모를 잃고 기억과 함께 자신이 지녔던 능력마저 잃어버렸던 아소 도모코가 부모가 남긴 테이프를 보며, 자신의 일을 기억하고, 자신으로 인해 벌어진 일일까 걱정하다 결국엔 기억과 함께 자신의 능력을 찾는 이야기였다. 남들과 다른 능력이 있다는 것에 괴로워하고, 자신이 기억하지 못하는 진실에 두려워하다 결국 기억을 찾으면서 자신을 찾게 되는 아소 도모코.. 남들과 조금 다르다는 이유만으로도 충분히 사회에서 배제되는 현실에서, 자신의 능력에 괴로워하고 그 능력에 대해 고민하던 아소 도모코가 결국엔 자신을 찾게되었기에 조금은 흐뭇한 마음이 들었다. 

하지만 두번째 이야기인 <번제>는 그런 흐뭇함이 사라지는 조금은 잔인한 이야기였다. 머릿 속에 발화장치를 가진 아오키 준코가 한자루의 장전된 총처럼 누군가 총을 발사해주기를 기다리는 듯 스스로 통제하지 못하고 폭주해나가는 모습에 초능력자가 자신의 능력을 어떻게 사용하느냐가 중요하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스나크 사냥>이나 <방황하는 칼날>에서처럼 경찰이 해결하지 못하는 그런 사건으로 인해 가족들이 느낀 원통함을 합법적인 수단이 아닌 다른 방법을 통해 원통함을 풀려하는 마음에 기대어 나타난 일이었지만 아오키 준코의 장전된 총에 손을 얹었다 자신의 생각이 잘못됐음을 알고 손을 뗀 것과는 달리 계속해서 폭주해가는 준코의 모습은 조금은 이해가 되지 않았다. 자신의 초능력으로 다른 사람을 도우려는 것은 이해가 되지만, 그 도움이 다른 것도 아닌 "살인"이라는 것은 도무지 이해할 수 없는 것이었다. 아무래도 이 이야기와 연관되는 <크로스 파이어>를 한 번 읽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마지막 이야기 <구적초>는 자신의 능력을 범인을 잡고, 사건을 해결하는데 사용하려 하지만 서서히 그 능력을 잃어가는 폰짱, 혼다 다카코의 이야기였고, 세 이야기 중에 가장 마음에 드는 이야기였다. 자신의 능력이 사라지면 능력에 기대어 경찰을 했던만큼 더 이상 경찰을 할 수 없을 것이라고 나약해지던 다카코를 위로해주던 경찰들과 그녀의 조금은 독특한 능력을 듣고도 여전히 그녀를 도와주던 오키, 그리고 결국 자신의 시련을 극복하는 다카코의 모습 모두 긍정적이었기 때문인지 가장 마음에 들었다. 다만 하얀 바바리맨을 찾는 이야기는 내가 머리가 나빠서인지 조금은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도 있었지만... 

이렇게 초능력을 되찾고, 초능력을 잃고, 초능력을 잘못된 일에 사용하는 세 명의 여자들의 복잡한 심리외에도 주변에서 그들을 바라보는 시선을 통해 남들과 다르다는 것에 대해 생각하게 해주기에 재미와 더불어 큰 의미가 있었다고 생각되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