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풍의 언덕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18
에밀리 브론테 지음, 김종길 옮김 / 민음사 / 200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언니인 샬럿 브론테가 쓴 <제인에어>처럼 동생 에밀리 브론테가 쓴 <폭풍의 언덕> 역시 어릴 적 어린이 명작동화책으로 읽은 기억이 있다. 하지만 <제인에어>를 너무나도 좋아하고, 제인과 로체스터의 이야기를 생생하게 기억하는 반면 <폭풍의 언덕>은 "험악하게 생긴 히스클리프" 외에는 기억나는 것이 없다. 그리고 어렴풋이 캐서린과 히스클리프의 열정적인 사랑이야기라고만 생각했었다. 하지만 이건 사랑이 아니다. 이건 히스클리프의 집착이고, 비뚤어진 욕망이며, 헛된 복수였다.

그리고 히스클리프만이 그런 헛된 복수와 집착에 매달리는 것이 아니다. 애거서 크리스티의 <비뚤어진 집>의 등장인물들이 비뚤어진 자신들의 집처럼 조금씩 비뚤어진 모습을 보였던 것처럼, <폭풍의 언덕>속에 등장하는 모든 인물들이 모두 제각각의 이유로 비뚤어져서, 다른 사람을 배려하는 것이라곤 눈꼽만큼도 하지 않았다. "자고로 집안에 사람이 잘 들어와야한다"는 말처럼 캐서린의 아버지가 데려온 히스클리프에 의해 언쇼집안과 린튼집안 모두 엉망이 되어버렸다. 

아버지가 너무나도 이뻐하는 길거리에서 데리고 온 근본도 모르고, 어떤 아이인지도 모르는 히스클리프를 괴롭히며, 비뚤어지기 시작한 힌들리의 인생, 자신이 사랑하는 히스클리프를 구해내기 위해 린튼집안의 에드거와 결혼한 캐서린의 인생, 캐서린을 사랑했고 결혼했지만 죽는 순간까지 편치 못했던 에드거와 히스클리프를 사랑했고 결국은 증오하게되는 이사벨라, 그리고 그들의 아이들인 캐서린과 헤어튼, 린튼 모두의 인생이 "히스클리프만 데려오지 않았더라면.." 좋게 변했을 수도 있었을텐데.. 그들의 끝없는 악의와 지독한 자기중심적인 생각, 그리고 너무나 부당한 대우를 받으면서도 그 현실에서 벗어날 수 없는 모습 모두 무서웠고, 환경에 의해 인간이 이렇게까지 변할 수 있는가 싶었다.

자신이 사랑한 여자의 딸임에도 자신의 목적을 달성하자마자 무자비하게 대하고, 자신의 은인의 손자이지만 자신을 못살게 굴었던 힌들리의 아들 헤어튼을 자신의 목적에 맞게 변화시키고, 자신의 아들임에도 자신의 목적을 위해서만 이용할 뿐 사랑이라고는 주지 않는 히스클리프.. 그의 그런 집착과 광기어린 복수심을 보며, 과연 그가 캐서린을 사랑하기는 했나싶다.. 오히려 사랑이라는 것을 모르고 자라 자신의 삐뚤어진 마음을 사랑이라 믿으며, 자신의 인생마저도 복수를 위해 쏟아부은 것은 아닐까?  

사랑이야기라고만 기억하던 것과는 달리 <폭풍의 언덕>은 음산한 분위기와 소름끼칠정도로 오만하며, 복수에 눈이 먼 히스클리프의 모습에 읽는 내내 두려움과 무서움을 느끼고, 너무나 수동적인 다른 사람들의 모습에 답답함에 미칠 것 같던 사랑이야기 아닌 사랑이야기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