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미오와 줄리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73
윌리엄 셰익스피어 지음, 최종철 옮김 / 민음사 / 2008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셰익스피어의 작품은 어려서부터 너무나 많이 접했었다. 영화를 통해서도 만나고, 어린이 명작동화책을 통해서도 만나고, 한 권의 책으로도 만났다. 그리고 "죽느냐 사느냐 그것이 문제로다"와 같이 소설 속의 명대사는 책과 영화가 아니어도 수없이 들었던 기억이 있기에, 굳이 책으로 다시 읽어야겠다는 생각은 들지 않는 책들이다.  

하지만 민음사에서 출간된 셰익스피어의 작품 <맥베스>를  "운문의 형식"으로 처음 만난 뒤엔 다른 작품들 역시 운문으로 꼭 읽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소설형식으로 읽었었던 예전의 느낌과는 다른 전혀 색다른 분위기의 글이었기에, 조금은 익숙하지 않아도, 읽을 때 조금 흐름이 끊기는 것을 느끼기는 했어도 <오셀로>와 <리어왕>, <햄릿>까지 한권 한권 새로이 읽는 느낌은 너무나 쏠쏠했다. 그래서 어떤 분은 원본과 다른 번역에, 형식에 치우치고 지금과는 맞지 않는 언어에 실망하셨다고 했지만 이 책 역시 또 다른 느낌을 줄 것이라는 기대를 안고 읽기 시작했다.  

운문으로 만난 <로미오와 줄리엣> 역시 새로운 느낌이었다. 로미오와 줄리엣의 애틋한 사랑이 구구절절 느껴지는 대화와 방백.. 마치 누군가 옆에서 읖조리는 듯한 느낌이 들어서인지 소설로 읽는 것과는 또 다른 재미가 있었다.  

하지만.. 로미오와 줄리엣의 사랑과 비극을 제대로 느끼려면.. 연극이나 영화로 보는 것이 더 나은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원래 책을 읽고 영화를 보는 경우, 대개의 경우 책이 낫다고 판단을 했었는데.. 어쩐지 이번엔 책보단 몇년전에 본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주연의 <로미오와 줄리엣>, 그리고 그 이전에 올리비아 핫세의 <로미오와 줄리엣>이 더 애틋한 사랑을 표현한 것 같은 느낌이 든다.. 아무래도 책에서는 볼 수 없는 서로를 애타게 바라보던 그들의 눈빛과 그들의 사랑을 너무나도 잘 표현해주던 음악이 있어서였던것 같기도 하고 시대에 맞게 적절히 각색을 해서인것도 같고.. 아무튼 이 책에서 내가 느끼지 못했던 것들을 영화로 보면서 더 절절히 느껴서인지.. 책을 읽는 내내 영화의 장면장면들이 떠오르기도 했다.  

그리고 다소 아쉬운 점은.. 각주가 너무 보기 불편하다는 것과 너무 많다는 것이다. 본문에 번호를 달아주었더라면 좀 더 보기 쉬웠을텐데.. 본문에 아무런 표시도 없이 밑에 "몇행, 설명" 형식으로 각주가 달려있다보니 그 부분을 지나치고 나서 한참 후에나 각주를 읽게되고, 각주를 읽다보면 어느 새 책 내용을 놓치기도 하는 등.. 조금만 편집에 신경을 써주었더라면 좋았을텐데.. 이래저래 아쉬움이 많이 남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