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인 에어 2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10
샬럿 브론테 지음, 유종호 옮김 / 민음사 / 200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시 읽은 <제인 에어>는 어려움을 겪으며 자란 제인에어가 로체스터를 사랑하게 되지만 수많은 역경과 시련을 겪게되고, 결국 그 사랑을 이룬다는 점에서 신데렐라의 이야기가 생각난다. 신데렐라가 계모와 새언니들에게 구박을 당했더라면 제인 에어는 자신의 외숙모와 사촌들에게 구박을 당했고, 신데렐라가 왕자님을 만나 행복해진다면 제인은 로체스터를 만나 행복해지는, 전형적인 로맨스 소설 중의 하나이다. 하지만 신데렐라는 요정의 도움으로 무도회에 가게되었고, 스스로 자신의 사랑을 찾기보단 왕자님이 유리구두를 가지고 신데렐라를 찾은, 너무나도 수동적인 모습의 아름다운 여인이었다면, 제인은 스스로 자신의 사랑을 떠나보내기도 하고, 자신의 사랑을 다시 찾기도 하는 아주 당찬 여성이었다.   

어린이 명작으로 읽었든, 만화로 만났든 똑같은 "제인에어"였기때문에 내가 기억하고 있는 줄거리와 이번에 새로 읽은 줄거리는 이런 대략적인 줄거리는 어릴 적에 읽은 기억과 한 치의 오차도 없이 같았다. 하지만 약간의 차이는 존재했다. 내가 왜곡해서 기억하는 것일지는 몰라도, 나에게 제인은 조금은 이쁜 아가씨였고, 로체스터는 멋진 모습의 전형적인 영국신사였다면, 실제로는 "이쁘지 않은 제인", 그리고 "못생긴 로체스터"였다. 그것도 읽는 내내 반복해서 로체스터는 자신이 못생겼다고 이야기하고 있고, 주변 사람들은 제인을 이쁘지 않다고 하고 있어 기억하지 않을래야 기억하지 않을 수 없는 그런 모습이었다. 하지만 어릴 때의 인상이 더 강해서인지, <제인에어 납치사건>에서 만난 로체스터의 사려깊고 멋있는 모습때문인지 나에겐 여전히 제인은 어여쁜 숙녀의 모습에 로체스터는 불구가 되기 전의, 약간은 콜린 퍼스 느낌이 나는 신사의 모습으로 남아있을 것 같다.    

하지만 존 에어에 대한 생각은 완전히 바뀌었다. 원래 기억대로라면 존은 평범한 이미지의 성실한 성직자로 제인을 사랑했었고, 인도에 같이 가서 봉사를 하자며 청혼을 하던 사촌이었다. 제인에게 청혼을 했던 성직자라는 점에는 변함이 없었지만, 존은 "잘생긴" 남자였고, "제인을 사랑하지는 않지만" "신의 뜻"에 의해 꼭 결혼해야한다며 강요하는 약간 사이코같은 느낌의 사람이었다. 처음 존의 모습은 그저 차가울 뿐이었다. 하지만, 제인에게 계속해서 결혼을 해야한다며 이야기할 때의 모습이 반복되면 될수록 나의 기억과는 다른 모습에 점점 실망하게 되었다. 원래 존은 제인이 힘들때 도움이 되었고, 그녀를 도와준 너무나도 착한 사람이었는데.. 지금 본 존은 착하기보단 너무나도 차갑고, 남의 말이라곤 귀똥으로도 듣지 않는 너무나 답답한 사람이었다.  

같은 듯 다른 느낌의 <제인에어>!! 어릴 적 만났던 제인과 로체스터를 다시 만나서 기뻤고, 예전과는 다른 모습의 인물들의 모습에 새로움을 느꼈던, 150년전에 쓰여진 로맨스 소설이지만 지금 읽어도 너무나 재미있는 <제인 에어>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