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가니 - 공지영 장편소설
공지영 지음 / 창비 / 2009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공지영의 <도가니>는 나에게 있어 두가지 의미가 있는 책이다.
첫번째는 처음으로 가제본책이라는 형태로 읽게된 책이라는 것이다. 좋아하는 작가의 책, 그리고 겉표지에 현혹된 책을 위주로 읽던 중, 알라딘의 서평단을 통해 많은 좋은 책을 만나게되었다. 매주 "알라딘증정"이라 쓰여진 책들을 받는 즐거움을 누리며, 매주 행복함을 느끼던 중 처음으로 가제본형태의 책인 <도가니>를 받았을 때의 기쁨은 잊을 수가 없다. 서평단으로 받은 다른 책들 역시 <도가니> 못지 않은 감동을 주었지만 남들이 가지지 못한 가제본으로 남들보다 먼저 책을 읽는다는 기쁨에 <도가니> 가제본을 만나는 마음이 더욱 즐거웠을 뿐이다. 물론 다음에서 연재가 되었었고, 이미 1100만명이 넘는사람이 조회를 했다고 하니 남들에 비해 먼저 읽는것은 아니겠지만.. 그래도 책이 출간되기전의 가제본의 상태에서 만났다는 것이 너무나도 행복할 뿐이었다.
그리고 두번째는 공지영작가의 매력에 반해버리게된 책이라는 점이다. 공지영작가의 책을 처음 읽은 것은 <봉순이 언니>다. 느낌표라는 프로에서 좋은 책으로 선정되었던 책이여서 읽게되었고, 나름 재미는 있었지만, 그 이후로 공지영작가의 책을 읽게되지는 않았다. 그리고 그녀의 에세이인 <아주 가벼운 깃털 하나>를 읽을 때에도 그녀의 작품에 대해 별다른 매력을 느끼지 못했다. 그저 다음에서 공지영작가의 작품인 <도가니>가 연재된다는 사실을 늦게나마 알고 읽으려고 시도는 했었지만 책과는 다르게 스크롤하며 읽는 독서는 왠지 읽는 느낌을 주지않아서인지 한편을 채 읽기도 전에 포기를 했었다.
그래서 가제본으로 만난 도가니는 어쩐지 더욱 기대가 되는 책이었다. 책표지의 새싹이 돋아난 흙을 밟고 서 있는 다리를 보며, 봄과 같은 분위기가 느껴져서인지 희망을 그린 책이라고만 생각되었다. 하지만 이 책은 읽는 내내 가슴이 답답했고, 다 읽은 지금도 가슴이 답답해 미칠것 같다.. 정말 우리나라가 이런것일까? 누구는 홀로 서고 더불어 살라며 장애아들의 인권을 위해 싸워나가는데 누구는 더불어 남들을 짓밟은 위에 서고 홀로 살기 위해 자신들의 이익에만 목숨을 건채 눈가리고 아웅하는 식으로 문제를 덮어버리는 모습이 정말 우리나라의 모습인 것일까?
청각장애를 지녔음에도 똑부러지며 명석한 연두와 청각장애와 지적장애를 갖고 있으며 아버지를 갖고싶어하던 유리, 동생을 잃고 자신 또한 수많은 폭력에 노출되어있던 민수의 인권은 정말 아무것도 아니었던것일까? 가끔씩 TV에 나오는 정신지체아동을 성폭행한 마을 주민들을 보며 천벌을 받아야한다고만 생각을 했다. 어떻게 사람이 되어서 자신의 손녀뻘인 아이들에게 그런 행동을 하냐며 말이다. 하지만 나 역시 그걸로 끝이었다. 그들이 정말 타당한 판결을 받아 죄값을 치루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관심이 없고, 단지 그런 사건이 있었다는 것에만 분개할 뿐이었다. 그리고 어쩌면 <도가니> 속에 등장하는 많은 언론들도 그렇지 않을까 싶다.. 장애아들의 성폭행과 성추행에 대한 이야기를 공개하고, 재판과정에 참여도 하지만 점차 줄어드는 관심.. 어쩌면 그들도 사회적으로 커다란 충격을 주는 사실로서만 그 사건을 다룰 뿐 그 사건의 결과에 대해 관심은 없던 것이 아닐까?
어마어마한 부를 축적하고 수십년을 무진이라는 곳에 살며 교회와 교육청, 그리고 수많은 고위직과 친분을 맺고 지냈기에 수많은 성폭행을 저질렀음에도 아주 미미한 처벌만을 받는 이강석, 이강복형제, 힘있는 자들에 대해 경찰에서는 조금 늦게 수사에 착수하고, 판사는 전관예후로 변호사를 대우하고, 청렴함으로 판사를 지냈음에도 딱 한번 전관예후를 통해 강남에 사무실을 마련하려는 변호사와 자신의 아들과 아이들은 못듣지만 자신이 평생에 만져보지못한 많은 돈에 끌려 합의를 한 부모님, 그리고 그런 합의에 의해 처벌되지 못하게 만든 법이 한데 어우러져 만든 판결을 보며 가슴이 답답할 뿐이었다. 그러면서도 내심 이건 사실이 아닐꺼야라는 생각만을 했었는데... 창비에서 보내준 작가와의 인터뷰를 보니... 실제사건 또한 처음엔 5년형의 중형을 받았으나 나중엔 희지부지되었다는 사실을 보며 너무나도 어이없는 현실에 분개하게 될 뿐이었다..
어째서 우리는 더불어 살기보단 자신의 안위와 자신의 부만을 위해 살며, 그리고 그런 부를 위해 존중되어야 하는 것을 간단히 무시하는지... 안개속에 쌓인 무진의 모습은 한치앞도 안보일만큼 눈 앞을 가린 사람들의 욕심에 쌓인 우리의 모습은 아닐까싶다.. 솔직히 기간제 교사로 임시발령으로 간 곳에서 아이들의 얼어붙은 마음을 녹인 강인호가 있었기에, 그리고 힘든 일임에도 사건의 진실을 밝히려 도움을 준 사람들이 많았기에 전관예후니 돈이니 뭐니해도 조금은 힘들겠지만 그래도 정의가 이길것이라 생각했던 나의 믿음을 깨주었던 현실의 모습에 답답함을 느끼면서도 이런 현실을 무너뜨리기위해 내가 어떻게 해야할지조차 모른다른 사실이 더욱 한스러웠다. 그나마 다행히도 "홀더"를 만들어 장애아들이 스스로 일어서려는 모습에 가슴이 뭉클하기도 했지만.. 그 뭉클함보다도 답답함이 강하던 이야기였다..
장애아들이 서로 모여살며 스스로 일어서는 곳이기에 "홀로 서고 더불어 사는" 곳이 홀더가 아니다.. 홀더는 바로 우리사회의 모습이어야 한다.. 홀로 서고, 홀로 서는 것이 어려운 사람은 누군가의 도움을 받으며 서는 법을 배우는 더불어 사는 곳.. 그곳이 바로 우리나라의 모습이어야하는데.. 정권이 바뀌어도 항상 힘을 가진 자들은 거기서거기여서인지 드라마를 재방송하듯 비슷한 사건이 시대를 두며 반복해서 일어나는 것 같다..
단순히 드라마대본처럼 보이는 가제본물에 감동하여서, 공지영작가의 신작이어서 기대하며 읽은 <도가니>는 정말 많은 생각을 하게해주는 것 같다.. 우리나라 장애인들의 현실과 권력의 부정부패, 그리고 법의 모순.. 언제쯤이면 이런 불합리한 현실이 진정한 "홀더"가 될수 있고, 그러기 위해 나는 어떻게 변해야만 하는 것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