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라, 달콤한 죽음이여 - 제15회 독일 추리문학 대상 수상작!
볼프 하스 지음, 안성철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09년 10월
평점 :
절판
''친절한' 구급차를 함부로 믿지 마라. 방심한 순간, 구원의 사이렌이 죽음의 칸타타로 바뀔지 모른다!"라는 문장에 완전 속아버렸다. <오라달콤한 죽음이여>라는 뭔가 있을 듯한 제목에, 살짝 내용을 언급하는 듯한 저 한 문장.. 표지는 썩 마음에 들지않지만, 제목과 책 뒷표지에 적힌 문장에 확 끌려, 두번 고민도 하지 않고 읽기 시작했다. 물론 다른 분의 리뷰를 보니 3인칭의 서술에 익숙하지 않아 뭔가 어색하고, 추리소설이라기 보단 소설에 가까운 이야기라고 되어있었지만, 그래도 죽음의 칸타타로 변하는 구원의 사이렌 속에 뭔가가 있을 줄 알았다..
하지만, 나의 상상과는 완전히 다른 이야기라니,. 정말 읽는 내내 점점 기운만 없어졌다. 너무 기대를 해서인지, 기대와는 다른 이야기에 힘이 빠지고, 밝혀지는 진실에도 그다지 놀라게 되지도 않고, 제목만 못한 이야기라는 생각만 자꾸 들었다.. 정말 제목하나는 끝내지는데,..
이야기의 발단은 한 도시에 구급대가 2곳이 있다는 것이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위급한 상황에 닥쳤을 때에는 이곳저곳 따질 필요없이 119에 전화를 걸기만 하면 된다. 물론 예전의 뉴스에서 구급대원과 병원과의 비밀계약으로 특정병원에 환자를 데려간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은 있지만, 이 책에서처럼 두 곳의 구급대가 서로 실적을 쌓기 위해, 경쟁을 하며, 환자를 먼저 이송하기 위해 서로의 무전을 불법도청하는 것과 같은 일은 벌어지지 않는다. 그리고 유언을 통해 특정 구급대에게 유산을 남기는 경우도 거의 없다고 보면 된다.
그렇기에 이 책에서 모든 사건이 발단이 되는 일이 너무나도 낯선 상황이었다. 환자를 살리는 것이 최대 우선 목표이기에 빨간 신호를 무시하고, 다른 차량들의 양보로 최대한 빨리 이송하려고 노력하는 구급차가 아닌 구급차에 의해 다른 사고가 일어날지도 모르는 위험을 감수하면서까지 빠른 속도로 달리며, 얼마나 빠른 시간으로 가는지에 대해 내기를 하는 구급차의 모습은 관심을 끌기에 충분했다. 이러한 모습이 하나씩 쌓여 죽음의 칸타타가 되나 싶었는데.. 그런 것과는 관련없이, 그저 구급대의 비리에 의해 구급차가 죽음의 칸타타가 되는 것이었다.
그것도 조금은 밋밋하게 진행되는... 총에 맞은 간호사의 이야기에서 시작하여, 뜬금없는 구급대원의 죽음과 그것을 밝히기 위한 전직 경찰인 한 구급대원의 사건수사를 통해 비밀이 밝혀지고, 사건자체도 그다지 충격적이지도 않지만, 사건이 눈앞에서 벌어지기 보단 대화속에서 과거의 일로 언급되기에 더더욱 긴장감이라고는 하나도 느껴지지 않으니 추리소설이라는 느낌이 전혀 안드는 것도 같았다. 사건의 마지막 해결도 뭔가 너무 허무한 것 같기도 하고... 어째 이 책은 영 내스타일이 아니다. 잔인한 것을 좋아하는 것도 아니고, 잔인한 것만을 요구하는 것도 아니지만, 이 책은 추리소설로서 흥미로운 살인사건도 아니고, 그렇다고 커다란 반전이 있는 것도 아니고, 긴장감이 넘치는 해결과정이 있는 것도 아닌, 그냥 그런 추리소설이라는 느낌을 지울 수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