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Q84 1 - 4月-6月 1Q84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양윤옥 옮김 / 문학동네 / 200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하루키의 이야기 속에는 언제나 다양한 음악이 흐르고 있었다. 하지만 한 번도 그의 이야기를 읽으며, 책 속의 주인공과 같은 음악을 들으며 동화되었던 적은 한 번도 없다. 재즈에 관심이 있는 것도 아니고, 내가 아는 가수도 아니고, 그렇다고 음악자체를 즐겨듣는 것도 아니니 굳이 번거롭게 책 속에 등장하는 음악을 찾는 수고를 할 필요자체를 느끼지 못했고, 그저 하나의 무대장치일 뿐 별 의미가 없다는 생각만을 할 뿐이었다.  

그러나 이번에는 아니다. 굳이 책 속의 음악을 찾아 음악사이트를 돌아다닐 필요도, 음반을 사기 위해 핫트랙으로 갈 필요도 없었다. 책 속에 아오마메가 들었던 야나체크의 신포니에타 음악CD가 들어있었기 때문에, 처음으로 주인공이 들었던 음악을 들으며 편안한 자세로 책을 읽기 시작했다. 그렇게 오늘 새벽 12시쯤 읽기 시작한 1Q84는 여느때의 하루키의 소설처럼 변함없이 이야기에 빠져들게 하는 뭔가가 있었고, 결국 난 밤을 꼴딱 새우며 하루키의 이야기에 정신없이 빠져들어 헤어나올 수가 없었다. 

1Q84의 주인공은 자신의 행동에 대해 목적의 정당성을 들며, 이 세계의 사람을 양심의 가책없이 저세계로 보내는, 헬스클럽 인스트럭터이면서 살인범인 아오마메와 입시학원의 수학강사로, 쉬는 요일엔 소설을 쓰며 지내는 덴고였다. 언뜻 보기엔 아무런 접점도 없는 그들이, 한 명은 다른 여성을 가차없이 괴롭힌 남성들을 처치하며, 한 명은 소설을 쓰고, 자신이 매료된 소설을 리라이팅하며 자신도 모르는 사이 1984년에서 1Q84년으로 이동해왔고, 자신들도 모르는 사이 너무나도 큰 일에 얽매이게 되었다. 단지 길이 막히는 고속도로에서 남들이 하지 않는, 비상계단을 타고 고속도로를 벗어난 것때문에, 자신에게 너무나도 흥미로운 이야기로 다가오지만 글솜씨가 미숙한 한 편의 소설때문에 말이다..   

그렇게 자신들도 모르는 채 거대한 일에 얽매여 자신의 의지대로, 또는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는 수많은 사건을 겪는 덴고와 아오마메, 그리고 후카에리의 이야기는 책에서 손을 떼지 못할 정도로 재미있었다. 하지만 이야기를 다 읽었음에도 찝찝한 느낌이 든다.. 언제나처럼 모호한 결말이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여러 의문점이 생겼기 때문이었다. 

하나, 결국 덴고는 아오마메를 찾았을까? 바로 며칠전에 읽은 <스푸트니크의 연인>에서 스미레가 돌아왔다는 이야기를 할 뿐 실제 돌아왔는지, 그를 다시 만나게 되었는지를 알 수 없었던 것처럼, 덴고 역시 아오마메를 찾는다는 결심을 한 채 이야기가 끝나 버렸다. 아오마메가 들려주는 마지막 이야기에선 그녀가 죽는지 사는지조차 모호하다. 만약 아오마메가 죽었다면 1Q84년이든 1984년이든 그녀는 실제로 죽은 것이니 덴고가 찾을 수 없을 것이고, 만약 그녀가 죽지않았더라면 리더가 해준 말과는 다른 결말이고.. 과연 그녀는 살아있는 것인지, 죽어있는 것인지, 그리고 20년을 마음 속에 담아두었던 덴고는 그녀를 찾을지 못찾을지 정말 궁금하다.. 

둘, 리틀 피플은 어떻게 될까? 공기 번데기를 만들어 자신들의 통로와 도터를 만들고, 자신들의 뜻을 전할 리시버와 퍼시버를 찾아 이용하고, 자신들의 뜻을 방해하는 사람들을 직접 가해할 수는 없지만 그들의 약한 부분을 건드리던 그들은 과연 어떻게 되었을까? 아직 1Q84년의 세계에서 덴고와 아오마메가 있는것으로 보아, 그들 역시 존재하는 것일텐데 리시버를 잃은 후 과연 그들은 어떻게 되었을까?  

그리고 이 책 속의 리틀피플은 하루키의 또 다른 소설인 <TV피플>속의 그들과 같은 존재일까? 물론 리틀피플은 손가락만한 존재들이 크기를 맘대로 조절하며 60cm정도로 커지기도 하고 다시 작아지기도 하는 반면, TV 피플은 사람의 모양을 하고 성인의 8할정도의 크기이니 크기 자체는 TV피플이 훨씬 크다. 하지만 TV피플이 TV를 들고 와 설치를 하여도 아무도 이의를 하지 않고, 그렇다고 그들이 보이지 않는 것은 아니며, 그들이 하는 말은 특정인에게 들리는 것처럼 리틀 피플도 누구에게나 보이는 것도 아니고, 누구에게나 말을 거는 것도 아니며, 그들이 만든 세계를 누구나 알아차리는 것은 아니었다. 그런 면에서 어쩜 같은 존재인데 모습만 다른 것은 아닐까라는 생각이 들기도 하고, 아니면 "피플"이라는 단어때문에 두 존재를 연관되게 생각하는 것인지도 모르겠지만 확실히 그들의 존재는 신비하고, 궁금한 존재이다..   

셋, 후카에리는 어떻게 되었을까? 덴고가 고양이 도시에 다녀올 동안 덴고의 집에 머물며, 덴고를 기다리던 후카에리의 이야기는 모호하게조차 끝나지도 않았다. 그저 기다리고 있을뿐, 덴고처럼 어떤 결심을 한 것도 아니니 말이다. 리틀 피플에 있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했고, 제일 먼저 도터를 만든 만큼 리틀피플과의 이야기에서 그녀가 어떻게 될지도 중요할 것 같은데.. 리틀피플과 더불어 후카에리의 이야기에 대한 언급이 더 필요한 것 같다.. 

그리고, 비록 덴고와 아오마메, 후카에리처럼 이야기의 주축은 아니지만 덴고와 후카에리를 만나게 해주었던 고마쓰가 일주일째 연락두절상태로 남아있고, 후카에리를 돌봐주던 에비스노선생님이 선구에 맞서 후카에리의 부모를 찾기 위해, 그리고 그 곳에서 일어나는 일을 파헤치기 위해 그런 계략을 쓴만큼 선구가 어떻게 되는지, 에비스노 선생님에겐 별일이 없는지에 대해 약간의 언급도 없고, 아오마메를 친딸처럼 생각하던 노부인과 가족이라 여기기 시작한 다마루의 이야기 역시 미완성인 상태다.. 

우물 속에서 자신의 부인을 찾아 헤매고, 결국 우물을 벗어나 다시 자신으로 돌아온 <태엽감는 새>의 주인공처럼, 결국은 양을 없애기 위해 자신의 목숨을 버린 친구를 찾았던 <양을 쫓는 모험>의 주인공처럼 뭔가 정리되는 듯한 분위기였으면 더 좋았을텐데 <1Q84>는 분명 이야기가 더 있을 것 같은데 그냥 모호함을 남긴채, 1Q84년에 남은 채 아오마메와 덴고의 이야기가 끝나버리니 조금은 아쉬운 결말이었다.   

☆ 이런.... 내년에 3권이 출간될 예정이란다.. 진작 알았으면 지금 안읽었을텐데.. 1권을 산 뒤, 2권이 나올 때까지 기다리느라 안읽었고, 다른 책을 먼저 사느라 미뤄오던 2권을 엊그제 산 뒤 완결이라 생각하며 열심히 읽었는데.. 3권이 내년에 나온다니.. 분명 그 때쯤가면 대략의 줄거리 외엔 기억나지 않을테니 다시 읽어야 될테고, 다시 읽는 것보다 내년까지 찝찝한 상태로 남아있어야된다니... 진작에 알았으면 그냥 안 읽고 가만히 모셔둔채 3권이 나오기만을 기다렸을텐데... 이건 뭐 다 읽고 알아버렸으니.. 차라리 번역이 늦게늦게 이뤄져서 내년에 이 책이 출간되었으면 더 좋았을 것을.. 너무 안타깝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