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인의 징표
브래드 멜처 지음, 박산호 옮김 / 다산책방 / 2009년 9월
평점 :
절판


성경이란 것을 한 줄도 읽어보진 않았지만 하느님이 자신의 동생 아벨을 이뻐하는 것을 질투한 카인이 자신의 동생 아벨을 죽인 사건만큼은 드라마 <카인과 아벨>을 할 때 알게 되었다. 질투에 의해 동생을 죽인 형, 카인의 징표에 아들앞에서 아내를 죽인 아버지, 자신을 평생 속여 온 아버지를 증오하는 아들간의 가족사를 관통하는 비밀이 담겨있다? <카인의 징표>라는 제목도, <다빈치 코드>보다 경이롭고, 댄브라운도 찾지 못한 성경속의 비밀을 파헤친다는 낚시글(내용과 상관없는 전형적인 낚시글은 아니지만.. 어쩐지 조금은 자극적인 문구나 호기심을 유발시키는 문구여서 완전히 나를 낚아버렸다^^)같은 문구에 언뜻 보기에도 부담스러울 정도로 두꺼운 책이었지만, 그런 것은 읽는 데 아무런 문제가 되지않았다. 오로지 "카인의 징표"가 무엇인지, 카인은 과연 무엇으로 아벨을 죽였는지, 그리고 아들과 아버지사이에 숨겨진 비밀은 무엇인지를 알기위해 열심히 읽고 또 읽을 뿐이었다.. 

레스토랑에서 횡포를 부리는 노숙자, 인사불성이 되어 도로에 누워있거나 위험에 빠진 노숙자들을 인솔하는 일을 하고 있는 칼앞에 노숙자의 모습으로 등장한 아버지의 만남은 비밀을 밝히기 위한 첫번째 단계였다.. 총을 맞은 상태에서도 화물을 운반하기 위해 기를 쓰는 아버지를 뒤쫓으며 아버지가 자신에게 숨기는 것이 무엇인지를 알아내려는 칼은 그들의 뒤를 쫓는 여자같은 이름의 엘리스에 의해 위험에 빠졌다.. 무엇인지도 모르는 것에 의해 자신의 목숨이 위협당하고, 자신의 동료는 죽어버린 채 자신이 오해받는 상황.. 첫 시작은 나쁘지 않았다.. 

자신도 모르는 사이 숨겨진 비밀을 찾는 일에 가담되어버렸고, 그 비밀을 원하는 두 종류의 집단에 의해 이용당하고 위협당하며, 조금씩 드러나는 단서를 바탕으로 비밀을 밝혀나가는 이야기답게 두루두루 그런 요소를 갖춘 채 이야기를 시작하고 있으니 말이다. 거기다 함께 이동하는 사람이 자신의 엄마를 죽인 아버지, 그리고 감옥에서 나온 뒤 자신을 찾지 않는 아버지라니 처음부터 삐걱대는 사이니 적절한 갈등요소도 담겨있고..  

하지만 그런 흥미진진한 시작과는 달리 점점 내용이 흐지부지 되는 듯하다.. 우리의 영웅 슈퍼맨의 원작자이지만 슈퍼맨으로 떼돈을 번 출판사와는 달리 가난에서 벗어나지 못한 제리 시걸과 의문사를 한 그의 아버지가 카인과 얽혀들기 시작하는 것이 조금은 어색했다. <다빈치 코드> 속의 레오나르도 다빈치와 시온수도회, 그리고 기사단의 이야기가 연관되어있는 것과는 달리 "카인의 징표"와 "제리 시걸"사이의 연관성이라고는 브래드 멜처가 만들어낸 연관외에는 도무지 둘 사이의 공통정이라고는 없으니 색다름을 느끼기도 했지만, 그보단 둘 사이의 관계가 어색하다는 것이 더 두드러지는 것은 어쩔 수가 없었다.  

거기다 <다빈치 코드>와 유사한 인물관계도때문인지 얼마읽지 않아도 대충 누가 예언자인지를 짐작하게 되는 것도 조금은 진이 빠진다.. 초반의 그 스펙타클함과 신비로운 분위기, 그리고 인물간의 묘사.. 그 모든 것이 빛바래는 듯한 느낌의 결말이라니.. 물론 재미있기는 하다.. 정말 재미가 없었다면 결국 다 읽지 못했을테지만 이 책은 어색함을 느끼면서도, 점점 긴장감이 사라지고 이야기가 빛바랜 것이 느끼면서도 결국은 다 읽게되니 말이다. 하지만 다른 리뷰어의 말씀처럼 용두사미되버린 것같은 느낌을 지울 수는 없었다.. 그렇게 비밀의 중심이던 "카인의 징표"가 밝혀질 때에도 그다지 놀라지 않게되니 말이다..  

덧) 그래도 이 책의 최고 장점은 말로만 설명을 하는 것이 아닌 단서들을 직접 보여주고 있다는 것이다. 가끔씩 추리소설을 읽을 때마다 우리 정서에선 익숙하지 않은 단서들에 도무지 상상이 되지않아 답답했었는데 이 책은 너무나도 친절하게 단서를 보여준다.. 칼과 그의 아버지가 찾아낸 만화를 직접 볼 수도 있고, 그 만화들을 겹쳐 비밀을 찾는 모습도 생생하게 볼 수 있어 이야기로만 읽을 때의 답답함없이 깔끔하게 단서를 볼 수 있어 훨씬 쉽게 이야기를 이해할 수 있다는 장점!! 쉽게 읽히는 것 외에 이 점이 가장 큰 장점이 아닌가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