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12 - 인조실록 - 명분에 사로잡혀 병란을 부르다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12
박시백 지음 / 휴머니스트 / 2008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중종은 자신의 의지로 왕이 된 것이 아니라, 연산군을 폐위시킨 신하들에 의하여 왕이 되었고, 준비되지 않은 채 왕위에 올라 별다른 업적없이 그의 여인들과 그에 의해 목숨을 잃은 조광조만이 유명하다. 하지만 인조는 자신이 직접 반정을 주도하여, 광해군을 몰아낸 뒤 왕이 되었다. 하지만 그는 태종과 세조와는 달리, 모든 반정을 주도하였지만 별다른 계획이란 것이 없는 왕이없다, 오로지 광해군과는 다른 행동을 한다는 계획밖에는.. 현실적으로 명이 망하고 청이 흥하고 있다는 시대흐름조차 따르지 않은 채 무작정 명과의 의리만을 중시하고, 정묘호란을 통해 후금의 세력을 직접 느꼈음에도 계속해서 명과의 교류를 중시했던 왕.. 

반정을 통해 왕이 되었지만, 어느 것 하나 계획한 것도 자신의 이상도 없는 왕이었던 인조는 임진왜란에서 벗어난지 얼마안된 조선을 다시 한번 병자호란에 휩싸이게 만들 뿐이었다.. 척화도 좋고, 북벌도 좋지만 우선 실력을 쌓고, 병사들을 훈련시키며 체계화된 전략을 짜야하는 것이 전쟁인데, 말로만 걱정하고, 말로만 계획을 세웠으니 치욕스러운 삼전도의 굴욕을 면할 수가 없었다.. 

거기다 자신의 무능력함과 현실파악부족으로 인해 세자가 청에 인질로 끌려갔음에도 청에 인정받는 세자의 모습에 왕위를 빼앗길까 두려워 소현세자를 박대하는 모습이란.. 소현세자가 의문사를 한 것은 사실이지만 그래 크게 인심써서 인조의 잘못이 아니라고해도, 인조는 터무니없는 거짓으로 세자빈강씨를 사사하고, 세손들을 머나먼 제주도로 유배보내버렸다.. 한 나라의 왕이기전에 아들의 아버지로써, 할아버지로써 이게 가능한 행동인가? 아무리 권력에 눈이 멀었다고는 해도 자신의 아들인데..  

조선에만 틀어박혀 다른 나라가 돌아가는 사정은 안중에도 없고, 오로지 명과의 의리만을 추구했던 사대부들보다 청에서 직접 세계를 경험했고, 성리학이 아닌 다른 학문을 경험함으로써 조선의 발전을 가져올 수 도 있었을 소현세자를 잃게만든 인조.. 임진왜란을 겪은지 얼마 안된 나라에 다시 병자호란을 유발한 것도 그렇지만, 자신의 자식마저 져버린 그의 모습을 보며 광해군이 그리워질뿐이었다.. 수많은 옥사를 통해 자신의 형제들의 목숨을 빼앗고, 미신에 심취해 많은 재정을 낭비하였지만 그래도 명과 후금사이에 중립외교를 함으로써 외나무다리에 선 듯 아슬아슬하긴 하지만 그래도 조선이란 나라를 벼랑끝으로 내몰지는 않은 그런 왕이었기에 차라리 인조보다는 광해군의 치하에서 조선은 더욱 평안하지않았을까 싶으니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