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 여행자의 아내 2
오드리 니페네거 지음, 변용란 옮김 / 살림 / 200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권에서 클레어와 헨리는 드디어 결혼을 하고, 서로에게 더욱 익숙해지며, 여섯살난 클레어가 미래의 헨리를 만났던 추억처럼, 현재의 헨리가 과거의 꼬마 클레어를 만나러 가며 서로의 기억과 체험을 공유하며 더욱 사랑하기 시작하는 이야기였다.. 

너무나도 사랑하기에, 서로의 아이를 갖기 위하여 노력을 하고, 여러번의 유산을 통해 슬픔도 커가는, 서로를 만나고 서로를 사랑하기 시작하는 약간은 밝은 분위기의 1권과는 달리 조금씩 슬픔이 느껴지며 그들이 사랑이 큰 만큼, 그들에게 닥친 불행과 그들의 미래를 보며 가슴이 아플 때도 있었다.  

다만.. 1권의 이야기가 계속해서 반복된달까? 물론 헨리가 경험한 과거의 이야기나 클레어가 느끼는 감정은 계속해서 변화하고, 1권에서 잠시 언급했던 클레어나 헨리 한 쪽에서 겪은 사건을 다른 사람의 입장에서 바라보게 만들기 때문에 미쳐 알지 못했던 부분에 대해서 알게도 되고, 약간의 반전도 있기에 여전히 재미는 있지만 솔직히 조금은 지루할 정도로 같은 패턴이였다. 시간여행을 하는 것의 비밀이 유전자변형에 의한 질병이라는 것을 밝히고, 클레어가 헨리를 처음 만나고, 헨리가 클레어를 처음 만나는 때의 모습, 몇 번의 시간여행을 끝낸 후부터, 그러니까 1권의 중반이후부터 전반적인 긴장감이 떨어지게 되었다. 첫 장을 느낄 때의 느낌(책을 한장한장 읽을 때마다 줄어드는 페이지 수를 보며 안타까웠다..)과는 다르게 이 책을 언제 다 읽나라는 걱정을 할 정도로 재밌게 읽으면서도 지루함에 읽는 속도가 점점 느려졌을 정도였다.  

클레어와 헨리의 시간을 초월한 사랑에 초점을 맞추고 읽는다면 그들의 사랑이야기에 푹 빠졌겠지만.. 솔직히 난 사랑이야기보단 헨리의 유전자 변형에 의한 시간여행병의 비밀에 더 관심이 많았기 때문에 시간여행병의 비밀을 파헤치기 위해 연구하던 켄드릭박사의 실험결과에 대한 이야기가 좀 더 진행되었으면 싶었다. 문제가 되는 유전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그 유전자 변형을 동물에게 실험하여 성공을 하였고, 그것의 치료를 위한 연구가 남은 상태에서 더 이상의 진행이 없다는 사실이 아쉬웠다. 그리고 헨리와 클레어에 집중된 포커스를 이 책 속에 등장하는 다른 매력적인 캐릭터에게 조금만 더 나눠줬었으면 하는 안타까움이 남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