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2 - 태조.정종실록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2
박시백 지음 / 휴머니스트 / 2005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1권에서 이성계가 공양왕에게 왕위를 받았다면, 2권에서는 국호를 조선이라 바꾸고, 조선의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애쓰던 태조와 정도전의 이야기와, 이방원이 왕위에 오르기 직전까지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었다. 

아직 2권이지만 서서히 내가 알고있는 역사와 다른 역사이야기가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큰 줄거리로 말하면 고려의 왕족이었던 "왕씨"를 이성계가 몰살시켰다는 것으론 동일하지만, 내가 알고 있는 역사는 조선이 세워지면서 고려의 왕족인 왕씨를 모두 살려주겠다는 태조의 어명으로 왕씨를 모두 배에 태워 다른 섬으로 이동하는 척하다 배를 침몰시켜 왕씨를 죽였다는 것이었다. 하지만 실제 역사는 한 명의 신하가 점쟁이에게 왕씨의 운명과 이씨의 운명을 점쳤다는 지극히 개인적인 일이 알려졌고, 놀랍게도 잘짜여진 사기극 각본과 같은 그런 사건을 통해 왕씨들이 모두 몰살당했다는것이 실제 역사였다.. 이 책에서 내가 알고 있는 역사가 야사에서 언급되는 것이라고 보충설명까지 해줘 이제껏 내가 알던 역사가  완전히 허구적인 이야기는 아니지만 그래도 객관성이 떨어지는 야사라는 사실에 놀라게 되었다. 중고등학교 수업을 받으며 야사보단 정사를 더 많이 접했을텐데 어떻게 기억하는 것은 야사이니 말이다.. 아무래도 다양한 이해관계가 얽혀 복잡하게 꾸며진 듯한 정사보다는 강렬한 이미지를 남기는 야사가 더 기억에 남게되어 그런 것 같긴하지만 어쩐지 역사에 너무나도 무지한 것 같아 조금은 부끄러워지는 이야기이기도 했다.. 

그리고 개국이란 커다란 일을 성취했고, 불안정한 시국에 다른 나라로부터 침략을 받을까, 혹시 국내에서 또 다른 쿠데타가 일어나지 않을까를 염려하며 왕과 함께 국가를 안정시켜나갔던 최고의 사상가이자 개혁 정치가였던 정도전이 이방원뿐만 아니라 명의 홍무제에게도 위협이었단 역사를 새롭게 배우게 되었다. 그렇게 조선을 변방의 작은 나라이며, 자신들을 모시는 나라라고만 여기던 명도 국방을 지키기 위해 병력을 증진하고, 사병제도를 하나의 단일 병사제도로 정렬하는 정책을 시행하는 정도전을 보며 혹 자신들에게 위협이 될까 두려워하며 계속해서 조선을 괴롭혔다는 사실은 조금은 뿌듯하게도 느껴졌다.. 베트남이 미국과의 전쟁에서 이겼듯, 혹시 정도전이 조금만 남들과 융화되어, 조금만 이방원과 손을 잡고, 계속해서 자신의 이상을 이루기 위해 많은 사람들의 도움을 받았다면 고구려의 찬란한 역사를 잇지 않았을까라는 아쉬움도 생긴다..(매번 역사를 알게되면 만약에라는 가정이 어쩔 수 없이 떠오르게 된다.. 만약은 일어날 수 없지만 만약에 그렇게 했었더라면 지금 우리나라가 더욱 넓은 영토를 지닌 강대한 국가가 되지않았을까라는 생각을 하며 말이다..) 

그리고 제일 놀랐던 사실 한가지는 왕의 정식 호칭이었다.. 우리가 쉽게 광개토대왕이라 부르지만 실제 묘호는 국강상 광개토경 평안호태왕인것처럼, 태조, 정조, 태종이라 쉽게 부르던 조선왕들의 정식 호칭또한 그렇게 간단한 것이 아니었다.. 태조의 경우 묘호인 태조, 명나라가 내린 시호인 강헌, 정종이 올린 존호인 지인계운, 신하들이 올린시호인 성문시무, 숙종이 올린 존호인 정의광덕이 붙어 "태조강헌지인계운성문신무정의광덕대왕"이란  기다란 이름이었다. 물론 정조의 경우, 세종에게도 왕으로 인정받지 못하여 오래도록 공정왕이란 이름으로 불리기는 했지만, 왕들은 시호와 묘호, 존호에 의해 기다란 이름을 가진다는 사실은 처음 아는 사실이었기에, 어째 이 책을 읽기 시작한 것에 뿌듯함을 느끼기 시작한다.. 이어질 3권에선 내가 잘못 알고 있는, 아니면 모르고 있던 어떤 역사이야기가 나올지 점점 흥미진진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