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상한 식모들 - 제11회 문학동네소설상 수상작
박진규 지음 / 문학동네 / 200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천명관작가님의 <고래>를 읽은 후 "문학동네수상작"이라는 타이틀에 대해 깊은 신뢰감을 갖게 되었다.. <고래>, <악어떼가 나오다>, <캐비닛>, <달의 바다>, <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와 <수상한 식모들> 이렇게 6권의 책만을 읽었을 뿐임에도 여전히 난 "문학동네수상작"이라는 타이틀에 다른 문학상을 수상한 작품에 비해 더 깊은 신뢰를 가지게 되었다.. 신인작가들의 글이라 조금은 어설픈 마무리가 될 때도 있지만 딱히 좋아하는 한국작가가 없는 입장에서 한국작가의 상상력을 느낄 수 있으니 말이다.  

<수상한 식모들> 역시 문학동네수상작이라는 타이틀에 걸맞게 조금은 수상한 이야기를 맛깔나게 풀어가고 있었다.. 호랑이 부족과 곰부족이란 토템문화에서 호랑아낙이 나타나고, 그런 호랑아낙과 한핏줄같으면서도 다른 존재인 "수상한 식모들"에 대한 이야기는 도대체 무슨 이야기를 하나 싶어 호기심을 자극하기엔 충분하였다..  신기나 다양한 재능을 가지고 살아가던 호랑아낙과는 달리 수상한 식모들은 단지 개인적인 복수를 하는 그런 존재들이었다.. 서서히 주인집남자를 꼬시고, 주인집여자를 가지고 놀며, 주인집 아이의 귀에 하얀쥐를 넣어 흑백논리외엔 다른 감정은 없도록 망쳐놓는... 그렇게 이유도 없는 복수를 하는 수상한 식모중 마지막 수상한 식모의 이야기를 한때 수상한 식모에 의해 자랐던 경호에 의해 기록하고 있었다..  

호랑아낙과 수상한 식모가 같지만 다를 수밖에 없게된 역사나 그 역사의 중심에 있던 염옥과 지씨, 그리고 자신의 엄마가 내쫓은 수상한 식모 수영의 이야기 등 수상한 식모들의 이야기가 이어질수록 하나의 의문이 들기시작했다.. 왜 수상한 식모들은 그렇게 복수를 해야만 했을까? 만약 수상한 식모들의 출신이 모두 버려진 아이였다면, 자신의 운명을 한탄하며 복수를 한다싶지만 가난한 농촌출신으로 그저 식모가 되기 위해 서울로 올라왔던 그네들은 그런 복수심과는 무관할텐데 말이다.. 호랑아낙과 수상한 식모의 이야기가 계속될수록 조금만 더 읽으면 그 이유가 나오겠지하며 계속읽었는데 그들이 복수를 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아무런 말도 없이 마지막 수상한 식모가 죽고, 자판기처럼 경호가 자신이 기록한 이야기를 다른 사람에게 전해주면서 끝을 맺을 뿐이었다.. 뭔가 그 이상의 이야기가 있을 것같은 느낌인데 이야기가 뚝하니 끊겨버리는 느낌이랄까? 얇지않은, 어쩌면 두껍다면 두꺼운 분량일수도 있는 이야기임에도 어쩐지 너무나 아쉬운 느낌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