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우 이야기
모리미 도미히코 지음, 이영미 옮김 / 문학수첩 / 2009년 5월
평점 :
절판


모리미 도미히코는 정말 교토가 낳은 작가이라는 느낌이 물씬 풍기는 작가이다. 이제껏 읽은 모리미 도미히코의  <태양의 탑>, <밤은 짧아 걸어 아가씨야>, <달려라 메로스>도 교토를 배경으로하며. 이번 <여우이야기>도 아직 읽지 않은 <다다미 넉장반 세계일주>도 교토가 배경으로 한국에서 번역된 5권의 책 모두 교토가 배경이니 정말 교토가 낳은 작가라는 생각이 물씬 풍기는 작가이다.  

거기다 이제까지 읽은 3권의 책 모두 조금은 밝고, 조금은 엉뚱한 청춘들의 유쾌한 이야기들이었기에 내심 기담형식이라는 <여우이야기>는 어떨지 너무나도 궁금했다... 고전을 다시 쓴 <달려라 메로스>도 궤변을 늘어놓는 청춘들의 모습에 배를 잡고 웃으며 읽었는데.. 기담 역시 그런 특유의 유머가 묻어나지않을까 싶었다.. (다른 분들의 리뷰를 읽어보면 다들 이런 식의 착각 혹은 기대를 하셨던건 같다.. 그만큼 완벽한 기담이라 정말 의외성을 느끼고, 더욱 특이함을느꼈는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이건 완전히 기담이다!! <항설백물어>나 <괴이>처럼 에도시대의 괴담을 풀어가는 이야기가 아닌 <도쿄기담>처럼 현대에 벌어진 기묘한 이야기로 골동품점인 방련당을 중심으로 그곳에서 벌어지는 일이기도 그곳에서 사온 물건에 얽힌 일이기도 한 그런 4가지 이야기가 실려있었다. 그리고 네 이야기 모두 뭔가 뜻뜨미지근하게 끝나버렸다.. 그래서 이게 뭔가 싶은 느낌이 드는 이야기였는데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어설픈 결말이 아닌가 싶었던 생각은 사라지고 기묘함이 느껴지고, 계속해서 이야기가 떠오를 뿐이었다..  

더욱이 한 편의 단편이 그 이야기만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4개의 등을 키면 방 가운데에 요괴가 나타나는 등이나 요괴박제, 그리고 과실속에 꽈리를 튼 용네스케, 그리고 정체모를 동물과 여우탈, 그리고 그 물건을 다룬 방련당이 조금씩 다른 이야기와 연관되어서있을뿐만 아니라 그것들의 정체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아, 그리고 사건의 결말의 원인이 그리고 또 다른 일은 없는지 등의 여부에 대한 것 모두가 확실한 것이 없어서인지 이 책이 풍기는 기묘함은 더 커지는 것 같았다.. 책을 읽은지 벌써 하루가 넘는 시간이 지났고, 그리고 다른 책을 읽기 시작했음에도 여전히 문득문득 여우이야기가 생각날 정도이니 정말 독특하면서도 매력적인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