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항설백물어 - 항간에 떠도는 백 가지 기묘한 이야기 ㅣ 블랙 앤 화이트 시리즈 17
쿄고쿠 나츠히코 지음, 금정 옮김 / 비채 / 2009년 7월
평점 :
한참을 살까말까 고민한 책이었다.. 항간에 떠도는 100가지 이야기중 7가지 이야기로, 사건의 괴이함보단 인간의 추악한 모습이 드러나는 이야기라는 것에 끌리면서도 배경이 일본 에도시대라는 점이 걸렸다. 현대판 일본이야기의 경우 우리나라와 문화적차이는 여전히 존재하지만 다양한 매체와 여행으로 그 문화적 차이가 좁혀져왔기에 가끔 이해가 안가는 부분은 있지만 그래도 대부분 수용가능하다.
하지만 고전으로 가면 여전히 문화적 차이는 존재한다. 하얀 소복의 처녀귀신과 무서우면서도 도움을 주기도 하고, 또한 인간에게 속아넘아가기도 하는 도깨비, 인간의 생간을 먹는 꼬리 아홉달린 구미호와 관련된 우리나라의 괴담은 여름철 TV를 통해 접하기도 하고, 어릴 적 읽은 동화책이나 이야기를 통해 알게모르게 익숙한 존재들이지만 일본의 괴담은 그만큼 접한 적도 없고, 공통점도 없기에 이야기를 읽으면서도 겉도는 것이 사실이다. 예전에 읽은 미야베 미유키여사의 <혼조후카가와의 기이한 이야기>에서 너무나도 뼈저리게 느낀 사실이었다. 차라리 다모의 이야기였으면 하고 바랄뿐 아니라, 익숙치 않은 연호와 문화에 공감하지 못한채 다른 미미여사의 작품과는 다르게 전혀 매력이 없다고 생각했으니 말이다. 그런 경험을 한 상태에서 이 책을 읽는다는 것자체가 또하나의 모험이자 그저 실망만 남기는 독서는 아닐까 걱정스런 마음에 책을 사놓고도 한동안 읽지 못했었다..
물론 다른 일도 있어 한동안 책이라는 것 자체를 거의 읽지 못했지만 말이다. 우선 좀 한가로와지자마자 조금은 홀가로운 마음으로 항설백물어를 읽기 시작하였다(여전히 기대반 걱정반이긴하지만.. 얼마전 다시 읽은 백귀야행만화책처럼 조금은 섬뜩한 느낌의 책을 읽고 싶다는 것이 그래도 큰 계기가 되버렸다..). 항설백물어는 7가지의 이야기가 실려있고, 7가지의 이야기가 모두 일본에 떠돌아다니는 소문으로 시작한다. 1편에선 팥이는 귀신이야기, 2편에선 스님으로 변신한 여우이야기, 3편에선 머리가 잘렸음에도 싸우는 귀신이야기, 4편에선 사람으로 변신한 너구리이야기, 5편에선 사람의 입으로 들어갔다가 나오는 말귀신, 6편에선 버드나무의 저주로 죽은 여인과 아기, 마지막편에선 갑자기 나타났다 사라지는 시체의 이야기로 각각시작하였다.
그리고 오늘날의 해결사들처럼 사건의 의뢰를 받은 지헤이와 오긴, 마타이치, 그리고 전국의 괴담을 수집하는 모모스케가 일종의 사건을 꾸며 괴담속에 숨겨진 사건의 진실을 파헤치는 이야기였다. 전혀 상관없는 듯, 정말 괴담인듯 보이던 것이 결국 추악한 인간에 의해 만들어진 사건일 뿐이었다. 결혼식날 홀연히 사라진 신부도, 산에서 산적을 만나 가족을 잃은 뒤 성격이 너무나도 바뀐 주인의 이야기도, 버드나무가지에 목이 졸려 죽은 아이와 자살한 엄마, 그리고 아이를 잃은 채 미치거나 도망친 여러명의 부인의 이야기나 너구리가 사람으로 변신한 이야기 모두 어떻게 이런 이야기가 사람이 벌인 사건과 연관이 되나 싶을 정도로 기묘한 이야기들 뿐이었다..그런 점에서 이 책은 얼마전 읽은 <기담수집가>와도 유사한 느낌이었다. 신문에 광고를 실을 뿐 직접 사건을 찾아나선다거나 의뢰를 받는 것이 아닌 독특한 이야기를 돈을 내고 산다는 점, 파헤친 결과가 진실인지 아닌지에 대해서는 큰 차이가 있지만 에비스 하지메와 그의 조수 히사카도 사건의 본질을 꿰뚫어보고 기이한 사건이라는 점에만 초점을 둔채 사건의 전모를 파악하지도 못한 사람들에게 그 사건에 얽힌 추악한 현실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지헤이일당과 유사하였다.. 결국 기담이라는 것이 실체가 존재하는 사람에 의해서 벌어지는 것이라는 결말도 말이다..
그래서인지 예전에 벌어진 사건들 중에 기담이라는 이름에 가려져 밝혀지지않았을 사건을 생각하면 조금은 무서울 뿐이다.. 어떤 신비한 힘에 의해 벗어날 수 없던 사건들이 아닌 그저 인간의 탐욕에 의해 벌어진 사건들이라는 사실에, 그리고 그런 자신의 모습을 덮어버리기 위해 교묘한 방식으로 이야기를 꾸몄다는 사실이 더욱 무서울 뿐이다.. 그리고 그런 인간의 탐욕과 무서움이 또다른 도시괴담을 낳고있으며 그러한 괴담이 전혀 근거없는 소문만은 아니라는 생각을 하면... 또한 어제 <혼>에도 나온 것처럼 류가 자신에게 베풀었던 선행을 통해 자신이 쓰레기같은 느낌을 받았으며, 더 나쁜 짓을 해도 용서를 해줄 것같았기에 동생을 살해했고, 그로 인해 자신의 잠재된 욕망을 알았다는 김광규의 말처럼 우리가 무심코 한 행동이, 그리고 선의에서 한 행동이 어떤 결과를 낳을지, 그리고 그 사건들은 어떤 소문으로 둔갑하여 사람들을 두려움에 떨게 만들지.. 정말 인간만큼 무서운 존재도 없는듯싶다..
아.한가지 아쉬운 점은 솔직히 읽기 편한 책은 아니었던 것같다.. 낯선단어들 뿐만 아니라 뭔가 어려운 한자체의 말에.. 솔직히 대충대충 의미파악한 구절도 있다.. 전체적으론 이야기투여서 그냥저냥 읽었지만 중간에 한번씩 툭툭 끊기는 번역이 조금은 거슬리기도 하는... 그래도 어쩐지 옛날이야기라는 이름에의해 어느정도 수긍되기도 하는 부분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