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젤과 크레테 - 힐데군스트 폰 미텐메츠가 쓴 차모니아의 동화
발터 뫼르스 지음, 전은경 옮김 / 들녘 / 2009년 7월
평점 :
품절


언제나처럼 이번 발터 뫼르스의 이야기도 다른 이야기들과 연결되어있다. <꿈꾸는 책들의 도시>에서 부흐하임의 지하세계에서 그림자제왕을 만나고, 다양한 모험을 했던 힐데군스트 폰 미텐메츠가 이 책의 저자이며, <루모와 어둠속의 기적>에서 잠깐 등장했던 페르하헹일족이 주인공이며, <푸른곰선장의 13 1/2의 삶>(캡틴 블루베어의 13과1/2 인생으로 이름이 바뀌었지만..어쩐지 난 내가 갖고있는 책의 이름이 더 좋다,,)에서 숲거미마녀가 죽은 큰 숲에서 오색곰(<엔젤과 크레테>에서는 알록곰으로, <푸른곰선장의 13 1/2의 삶에선 오색곰으로 번역하고 있다.. 음.. 알록곰이라고 했을 때엔 알록달록한 느낌이 떠오르지가 않고, 오색곰이라 했을 때엔 다섯색으로 이루어진 곰이 떠오르니 둘다 적절하지 않긴하지만..그래도 오색곰이 더 낫지않나?)들이 모여사는 곳이 배경이다.. 그러고 보니 <에코와 소름마법사>의 등장인물은 어째 등장하지 않는 것같긴하지만.. 그래도 나머지 세 작품과 긴밀히 연결되어 있으니 이만해도 충분하지않나싶다.. 

우선 푸른곰선장이 숲거미마녀에게서 무사히 도망친 후, 먹이를 먹지 못한 숲거미마녀가 죽었고, 몰록호에서 무사히 탈출하여 일족인 오색곰들과 큰숲에 정착한 뒤 큰숲은 더 이상 두려운 곳이 아닌 하나의 관광지가 되었다. 여전히 길을 벗어난 곳을 통제하긴 하지만, 오색곰들이 공부하는 곳을 볼 수 있고, 벌꿀들이 채집한 꿀을 딸 수도 있고, 야영도 가능하며 포도주를 살 수 있는 그런 곳이 되었다.  

그리고 어느날,  유명한 헨젤과 크레텔이 집안이 가난해져 숲속에 버려진것과는 달리 엔젤과 크레테라는 페르하헹남매가 부모님을 따라 큰숲에 놀러왔다 자기들 멋대로 숲에 들어가게 되어버렸다.. 단지 숲을 더 보기 위해서 그런 무모한 짓을 해버렸다.. 헨젤과 크레텔이 조각돌과 빵조각으로 길을 표시했다면, 엔젤과 크레테는 나무딸기로 길을 표시해놓고 의기양양하며 들어간 큰 숲은 죽었다고 하더라도 숲거미마녀가 죽은 곳이고, 여전히 숲거미마녀를 태울때 생긴 이상한 냄새가 남아있으며, 마녀의 모자를 닮은 독버섯이 자라는 위험한 곳이었다.. 그곳에서 아이들은 평생에 위험한 일은 모두 겪어버렸다.. 

푸른곰이 숲거미마녀의 거미줄에 걸려 자신이 보고싶은 환상인, 또 다른 여자 푸른곰을 만나 맛있는 경단을 먹었던 것처럼 아이들은 자신들이 이파리늑대를 만나고, 비밀산림보호단을 만나 표창을 받는 그런 꿈을 꾸며 여전히 숲에 남아있었다,. 동굴트롤의 거짓말에 속아 더 깊은 숲속으로 들어가고, 풀늪에 빠져 죽을 뻔한 일도 겪고, 마녀가 아이들을 유혹하기 위해 과자집을 지었다면, 평범한 집 경단으로 유혹하는 마녀에 속아 잡아먹힐뻔도 하지만 결국 엔젤과 크레테는 살아남으며 이야기는 마쳤다.. 보통의 동화들이 "그 후, 그들은 아주아주 행복하게 살았습니다.." 라는 결말을 갖는 것과는 달리 그저 집으로 돌아간다는 이야기와함께 끝나니 그들이 진짜 집으로 돌아갔는지, 아니면 더 모험을 겪었는지는 상상하기 나름아닐까? 

무엇보다도 이 책의 가장 큰 특이점은 책 중간중간, 아니 거의 중요한 이야기의 순간마다 작가 미텐메츠가 등장하여 자신만의 여담을 늘어놓는다.. 자신을 비평하는 비평가에 대해 끊임없이 악의적인 소리를 하기도 하고(결국 그 비평가는 비평을 그만두고, 가위관리사가 되었다는 소문이,,), 새로운 정보에 대해 가르쳐주기도 하고, 그저 자기가 하고 싶은 말을 하기도 한다.. 처음엔 이야기의 중간중간 등장하여 흐름을 끊는다 생각했는데 읽다보니 미텐메츠의 여담이 기다려지기 시작할 뿐이었다.. <꿈꾸는 책들의 도시>에서 오름에 달한 글을 보고 작가가 되기를 바랬던 미텐메츠가 어느덧 차모니아에서 가장 많이 읽히는 저자가 되어 돌아오다니..너무나도 감개무량할 뿐이었다.. 이제 미텐메츠의 이름을 딴 부흐링도 미텐메츠의 책을 매일매일 읽으며 살고 있겠지? 미텐메츠와 더불어 부흐링의 이야기가 나왔더라면 좋았을텐데 말이다.. 어쩐지 그리운 사람을 만난 것처럼 미텐메츠와의 만남이 반갑게만 느껴지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