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을 뒤흔든 16인의 왕후들 - 당당하게 절대 권력에 도전했던 왕후들의 이야기
이수광 지음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08년 11월
평점 :
품절


다산초당의 "조선을 뒤흔든 16가지 살인사건"을 시작으로 하는 ○○을 뒤흔든 ○○시리즈는 한번도 날 실망시킨적이 없었다.. 그래서 이 책도 기대감에 부풀어 읽었다.. 역시나였다.. 역시나 알지 못하던 역사를 알게해주는...그리고 역사서임에도 어느 소설못지않게 흥미진진한 그런 책이었다..

조선을 다스리던 군주인 왕에 대해서는 많은 역사서에서 다루고 있다.. 하지만 왕이 있으면 또한 왕후가 있었던 것임에도 왕후에 대한 이야기는 별로 알지못했다..희대의 요부로 불리워진 장희빈과 인현왕후, 연산군의 어머니로 피에 젖은 적삼을 남긴 폐비윤씨, 그리고 이산을 통해 알게된 정순왕후와 여인천하의 문정왕후를 빼면 아는 왕후는 없다고봐도 무관할 정도이니... 그래서 총 4부로 걸쳐 16명의 왕후의 이야기를 다룬 이 책은 매우 유익하고 재미있었다..

 제1부 조선의 운명을 바꾼 불꽃의 왕후들에서는 태종의 부인이었던 원경왕후 민씨, 세종의 부인이었던 소헌왕후 심씨, 정조의 부인이었던 효의왕후 김씨(이산에서 정순왕후와 송연이에게 가려 별로 두각을 두러내지 못한...). 그리고 고종의 부인인 명성황후 민씨를 다루고 있었다... 원경왕후나 소헌왕후, 그리고 명성왕후의 경우 자신의 남편을 왕으로 이끌어주고 도와준, 그리고 일제치하에서 카리스마를 보여준 측면에서 불꽃의 왕후들에 너무나도 적합하다고 생각이 되지만... 효의왕후 김씨는 이들에 비해서는 이 카테고리에는 맞지 않는 느낌이 들었다..

제2부 조선의 산천초목까지 다스린 정치적 왕후들에서는 여인천하를 통해 알게된 중종의 부인문정왕후 윤씨, 광해군에 의해 아들 영창대군을 잃은 인목왕후 김씨, 북벌을 외친 효종의 부인 인선왕후 장씨, 영조의 부인이자 정조의 할머니인 정순왕후 김씨, 마지막으로 대원군 독재의 시대를 연 신정왕후 조씨를 다루고 있었다.. 인목왕후의 경우 아들을 잃은 어머니의 모습으로만 생각되어서인지 정치적 왕후는 아니지않나라고 생각했을 정도로 의외였던.. 그리고 효종의 부인인 인선왕후 장씨에 대해서는 처음 접하는.. 그리고 신정왕후 조씨도 풍산조씨의 외척만 생각날뿐 처음 보는.. 드라마를 통해 접했던 문정왕후나 정순왕후의 정치적인 모습은 상상했던 것이지만 다른 왕후들의 이야기는 완전히 새로운 내용들이었다..

제3부 조선을 울린 비극의 왕후들에는 삼촌에게 왕위를 찬탈당한 문종의 부인인 정순왕후 송씨, 소용 조씨에 의해 왕후임에도 억눌려지낸 인조의 부인 장렬왕후 조씨, 불행한 왕이었던 경종의 부인 선의왕후 어씨에 대한 이야기가 마지막 제4부 왕에게 버림받은 비련의 왕후들에는 왕과 나라는 드라마를 통해 다루어진 중종의 부인인 폐제헌왕후 윤씨, 그리고 희대의 요부로 수많은 드라마로 만들어진 희빈장씨의 이야기 그리고 중종반정으로 남편은 왕이 되었으나 자신은 7일만에 왕비의 자리에서 물러난 단경왕후 신씨와 마지막으로 폭군이었던 연산군의 부인 연산군부인 신씨에 대해 다루고 있었다.. 3부와 4부의 조선을 울린 비극의 왕후나 버림받은 비련의 왕후들은 왕후의 이름은 처음 들어보았지만 워낙 유명한 이야기들이 많은 지라 낯설지 않은 듯했다..

총 4부로 나뉘어져서 16명의 왕후들의 이야기를 팩션으로 그려낸 역사서.. 읽는 내내 드는 생각은 "과연 어디까지가 진실이고 어디까지가 거짓일까?"라는 생각뿐이었다.. 아무리봐도 팩션이라기보다는 그냥 역사서느낌뿐인...

하지만 이 책을 읽으면서도 의문은 든다.. 여러 역사서를 읽다보니 조금씩 서로 다른 이야기가 있어서... 과연 연산군은 어머니의 죽음을 알고 폭군이 된걸까 아니면 왕이 된후 폭군기질이 서서히 드러나다 어머니일로 폭발한것일까? 그리고 정순왕후나 문정왕후의 표독하고 정권에 집착하는 이미지와 정치력을 지닌 카리스마있는 여장부의 이미지 중 어느것이 사실일까? 등등 역사서를 접하면 접할수록 다른 역사가들에 의해 다른 측면의 사실들이어서 서로 다르게 서술해서 읽을때마다 혼란스럽다.... 과연 진짜 진실은 무엇일까?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은 아마도 진실과 하나도 어긋나지 않는 역사서가 나오면 해결가능할테지만... 아마 해결이 불가능할것이다... 남겨진 문헌으로 헤아릴 수 있는 역사는 한정되어있을테니..그래서 아쉬울뿐 알지못했던 사실을 알게해준 이 책에 대해서는 너무나도 만족할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