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콤 쌉싸름한 초콜릿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08
라우라 에스키벨 지음, 권미선 옮김 / 민음사 / 200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화를 본 적은 없지만 <달콤 쌉싸름한 초콜릿>이라는 제목만은 들어본 적이 있어서인지 처음 이 책을 접하는데에도 낯선 느낌보다는 어디선가 본 듯한 느낌이 드는 가볍게 읽을 수 있는 맛있는 향기가 나는 책이었다.  

미국과 가까운 나라이면서도 알고있는 것이라곤 타코와 화이타만이 전부여서인지 막내딸이 엄마를 모셔야하는 풍습은 큰아들이 보통 부모님을 모시는 우리나라와는 너무나도 다른 모습이었다. 그것도 평생을 결혼하지 않고 어머니가 죽을 때까지 어머니만을 모시고 살아야 하는 막내딸들... 그렇기에 티타는 자신이 가장 사랑하는 남자도 자신의 언니에게 빼앗기고 집안에서 억눌린 채 요리에만 매달리며 살았을뿐이었다. 그리고 그런 자신의 심정을 가득 담은 음식으로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고, 사람의 행동을 변화시키는 요리들이었다. 

 낯선 멕시코, 명문가의 집안에서 대대로 해먹어온 음식을 상상하는 것이란 너무 어려웠지만 장미향이 넘쳐나 자신의 사랑을 전하던 메추리요리나 사랑을 잃은 슬픔을 전하던 웨딩케이크, 자신의 딸과도 다름 없는 에스페란소의 결혼식에 자신의 마음을 가득담아 전했던 호두소스를 얹은 칠레고추요리까지.. 머나먼 곳에서 그 향기가 전해져오는 듯한 느낌이 들었다.    

하지만 티타의 사랑은 조금은 답답하게만 여겨졌다. 티타의 요리를 먹고 자신의 삶을 찾아 떠난 언니와는 다르게 계속해서 페드로와 티타는 사랑을 위해 도망치지도 못하고, 배신감에 다른 사람에게서 위안을 찾았음에도 그 사람에게 마음을 열지도 못하는 그런 소극적인 사랑이라니.. 간신히 존과의 결혼을 마음먹었음에도 떼를 쓰는 어린아이처럼 티타를 갖어버린 페드로의 사랑도 사랑이 아닌 집착으로만 여겨질 뿐이었다.  

음식과 사람의 감정을 하나로 이은 독특한 분위기의 이야기였고,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던 책이었지만 어쩐지 티타와 페드로의 사랑에 마음 한켠이 무거워지기도 하는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