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3부작
폴 오스터 지음, 황보석 옮김 / 열린책들 / 200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좋아하긴 했지만 폴 오스터라는 작가에 대해서는 전혀 모르던 때가 있었다. 별로 관심도 없었고, 내 주변 사람들 중엔 폴 오스터를 좋아하는 사람이 없었기에 정말 느지막히 이 작가에 대해 알게되었다. 아마도 <어둠속의 남자>가 출간되었을 때쯤이 폴 오스터를 처음 알게되었던 시기가 아닌가 싶다. 그 후로 벌써 8개월이 지났지만 아직까지도 폴 오스터의 작품은 몇권 읽지 못한 상태이다. 아니 별로 읽히지 않는 작가이다.  

아마도 폴 오스터의 작품의 모호성과 비슷한 분위기의 이야기에 별로 매력을 느끼지 못하기 때문일 것이다. 그래도 대표작은 읽어야겠다는 생각으로 읽게된 <뉴욕 3부작>은 폴 오스터의 모호성에 대해 더욱 실감하게 만드는 책이었다. <유리의 도시>, <유령들>, <잠겨 있는 방>으로 이루어진 <뉴욕 3부작>은 누군가를 지켜보고 있는 그런 이야기였다. 폴 오스터란 사설탐정을 사칭한 채 피터 스틸먼을 행적을 지켜보고, 누군가의 의뢰로 무슨 이유인지도 모른채 블랙을 관찰하고, 사라진 친구 팬쇼의 전기를 위해 팬쇼의 행적을 되돌아보며 서서히 자기자신을 잃어가는 모습이었다. 

 그리고 전혀 상관없는 듯한 이 이야기들은 극중 인물들의 이름을 통해 결국엔 하나로 이어지고 있었다. 피터 스틸먼과 폴 오스터, 헨리 다크라는 이름을 통해 그리고 <유리의 도시>, <유령들>이란작품이 <잠겨 있는 방>에 등장함으로써 하나로 이어진 이야기들은 작가의 말처럼 줄거리가 있는 이야기도 어떠한 결말이 있는 이야기도 아니었다. 

다만 이제까지 내가 읽은 폴 오스터의 작품엔 "작가"라는 존재가 나온다는 것과 무언가에 의해 "자기 자신을 잃어버렸던 사람들"이 나온다는 공통점외엔 별로 느끼는 바도 없는 이야기였다. 달의 궁전에서도 자신의 흔적을 지운채 어딘가로 사라지고 싶어하던 포그, 브루클린 풍자극의 모든 것을 잃고 삶을 마무리하려던 네이선은 삶의 끝에서 결국 자기자신을 찾기는 하지만 처음엔 이 책의 주인공들처럼 자신을 잃어버렸던 사람들이었기에 어쩐지 비슷한 느낌을 지닌 그런 존재들이었다. 

아직 읽어야할 폴 오스터의 작품은 무궁무진하지만 솔직히 그의 작품을 언제 다시 읽게될지, 과연 읽을것인지는 잘 모르겠다. 그만큼 폴 오스터의 작품의 모호성은 내 기호에 맞지않을 뿐만 아니라 이해할 수 없는 이야기이기에 선뜻 손이 가지않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