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신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 창해 / 2005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인간의 의식과 기억, 그리고 인격은 과연 어디에 있는 것일까? 종교에서 말하는 것처럼 영혼이 존재하여 영혼에 의해 사람이 정해지는 것일까 아니면 뇌에 의해 인간의 기억과 의식이 존재하는 것일까? 그리고 뇌이식을 통해 살아난 사람은 과연 뇌이식을 하기전의 나일까 아니면 뇌를 기증해준 사람의 나일까?  간이식과 심장이식이 가능해진 시대에 뇌이식도 더이상 불가능한일만은 아닐것이다. 아직 뇌이식이란 수술의 윤리적문제와 기술적문제로 이루어지지않고 있지만 이 책의 늙은이들처럼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을 것이기에 언젠가는 이루어질 수술이라고 생각한다.  

영화 <더 게임>에서도 이 책의 늙은이와 똑같은 생각을 하는 그런 늙은이가 나온다. 자신의 늙은 몸대신 내기를 통해 얻게된 젊은이의 몸에 자신의 뇌전체를 이식해 건강한 육체를 얻게되는 변희봉, 이 책과는 다른 점이 있다면 나루세 쥰이치는 서서히 슌스케로 변해가지만 변희봉은 뇌이식(? 뇌이식이라고 해야하나 전체 뇌를 서로 바꾸었으니 뇌교환이라고 해야하나?)과 동시에 뇌의 인격과 기억이 그대로 나타나기는 한다. 신하균의 몸에 변희봉의 뇌를 지니고, 변희봉의 몸에 신하균의 뇌를 지닌채 살지만 그 누구도 변희봉을 그저 성격이 변한 변희봉이라 생각할 뿐 그사람이 진짜누구인지에 대해서는 고민하지않는다. 다만 나 자신만이 나는 나라고 생각할 뿐..그렇기에 이 책이 던지는 "뇌이식 후의 나는 과연 누구인가"라는 질문에 대해 한번쯤은 고민해봐야된다고 생각을 한다. 

어린아이를 쏘려는 강도에게서 아이를 구하다 총을 맞은 소심하지만 의로운 청년이 자신을 쏜 강도의 뇌를 이식받는다면? 그리고 그 뇌로 인해 점차 자신의 인격은 사라지고 난폭한 범인의 인격이 자신을 지배하기 시작한다면 과연 그래도 나는 아직 나인것일까? 점차 난폭해지고 살인충동을 느끼며, 그림을 좋아하던 자신이 사라지고, 자신이 사랑하던 여자조차 멀게 느끼기 시작하는 나루세 준이치의 고민은 과연 나란 누구인가라는 생각에 끊임없이 고민하고 고통스러워할 뿐이었다. 10만분의 1이란 희박한 확률속에서 우연히도 적합성검사를 통과한 범인의 뇌로 뇌사상태에 빠지지도 않고, 반신불구가 되지도 않은 너무나도 운좋은 상황이라 생각했지만 살아있다고 해도 내가 나로 인식되지않는다면 그것은 살아있는 것인지.. 만약 준이치에게 이식되었던 뇌가 범인이 아니고, 자신과 비슷한 성격을 지닌 사람이었다고 하더라도 조금씩 변해가는 모습에 결국엔 이 책의 결말과 같은 선택을 하지않았을까?  

조금은 소심하고, 자신의 의견조차 보이지 못하던 준이치였지만 아이를 구하는 따뜻한 마음의 소유자였는데.. 그런 사람이 난폭한 정신세계의 슌스케로의 조금씩 변신을 해가는 모습을 보며 심장과는 달리 나라는 사람을 변화시키는 뇌!! 어떻게보면 단순히 인간의 장기 중에 하나이지만 인간의 정신세계를 통제하고 관리하는 기관이라는 측면에서 간단히 이식수술을 하는 간과는 달리 이식후의 "나"에 대해 생각한다면 뇌이식은 아직은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인 것 같다. 과연 나라면, 죽음을 택할까 아니면 또 다른 삶을 살아갈까? 살아있다는 것 자체에 감사는 하겠지만 더 이상 내가 나자신이 아님을 느끼며 "살아있다는 건 단지 숨을 쉰다든지, 심장이 움직인다는 게 아니야. 뇌파가 나오는 것도 아니지. 그건 발자국을 남긴다는 거야. 자기 뒤에 있는 발자국을 보고, 자기가 만든 것이라고 똑똑히 아는 거라고" 말하던 나루세와 같은 선택을 하게되진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