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눈먼 자들의 도시
주제 사라마구 지음, 정영목 옮김 / 해냄 / 200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예전에 읽었던 책을 다시 한 번 읽게 되었다.. 솔직히 재미있게 읽기보단 힘들게 읽어 다시 읽게되리라곤 생각하지 않던 책이지만.. 산 지 2년만에 눈뜬자들의 도시를 읽어보기위해... 그런 상황이 도래하도록 만든 눈 먼자들의 도시를 읽게되었다...
갑자기 실명하게 된 사람.. 첫번째로 눈 먼사람에게 착한 사마리아인처럼 도움을 주던 남자는 첫번째로 눈 먼남자가 경계의 태세를 보이는 순간 도둑의 모습으로 돌아갔다.. 그리고 실명도 전염되어버린... 어쩐지 실명이라는 것이 다른 사람을 배려하지 않음에 의해 전염되어 버리는 것 같은 느낌이 들기 시작했다.. 첫번째로 눈 먼 남자의 부인은 남편을 위하긴 했지만 격리수용되는 남편을 쫓아가지는 않았고, 도둑질을 한 남자도, 검은 안경을 쓴 여자가 실명을 하는 순간 그녀를 버리고 간 남자나 무례하게 대한 경찰, 무시하는 태도의 약국직원 등 대부분의 사람이 실명을 한 사람에게 배려를 하지않았던 것은 아니었는지 다시 생각을 해보게되었다.. 단 한 사람 눈이 멀지않았던 안과의사의 부인은 남편을 위해 같이 격리되었고 격리된 상황에서도 다른 사람을 위해 자신을 희생하려고 했기에 끝까지 눈이 멀지않았던 것은 아닌지...
단순히 전염병일 것이라는 이유로 격리만을 방법으로 생각한 도시의 지배자(?)들..단순히 전염이라는 이유로 존엄성을 지닌 인간을 무차별로 사살한 군인...그리고 눈 먼 사람들 속에서 음식을 확보하여 권력을 갖으려는 사람들.. 단순히 한 도시에 실명증세가 늘어나고 시작할 뿐이었지만 인간의 갖은 추악함이 드러나는 것 같았다.. 눈뜬자들의 도시에서는 그 정치세력이 백지투표를 받게됨으로써 나타나는 상황이라던데 염성이라곤 해도 같은 사람임에도 제대로 된 시설을 마련해주지않고 나몰라라하는 태도로 일관하던 세력에 어쩌면 백지투표를 하게되는 것은 당연한 것 같다..
다시 읽게된 눈먼자들의 도시는 처음 읽었을때처럼 충격적이지는 않았지만 역시나 인간의 추악함에 놀라게되는 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