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을 훔친 위험한 冊들 - 조선시대 책에 목숨을 건 13가지 이야기
이민희 지음 / 글항아리 / 200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솔직히 제목에 혹해 읽게 되었다. 조선을 훔친 위험한 책들이라니.. 어떤 책일지 너무나도 궁금해 읽지 않을 수가 없었다. 조선시대 사회를 풍자한 허균의 홍길동전과 같이 사회에 큰 파장을 준 책일까? 아니면 잘 알려지지 않은 비서일까? 이런저런 추측을 하며 책을 읽게 되었다.

그러나.. 이건 조선을 훔친 책들이 아니었다. 조선이.. 그리고 반대파가 너무 급진적인 사고를 두려워해 아니면 역사를 왜곡해 조선이 버린 책들이었다. 첫번째 설공찬전.. 실록에는 언급이 되었으나 그 실체는 없던 설공찬전이 어떤 책의 뒷면에 한글로 필사된 채 1/3이 발견되었다. 그 내용은 "반역으로 왕위에 오른자는 지옥에서 고생한다"는 내용으로 중종을 겨냥한 내용이었다. 그러한 내용때문에 어떤 책의 뒤에 필사를 통해서야만 전해질 수 있었던 책이었다. 두번째는 책이 아닌 서사설치의 반대!!! 조선시대는 지금과 같이 서점이 곳곳에 있는 것이 아니라 책을 구하기 힘든 시대 일부 관료가 서사의 설치를 요청하였으나!!!!! 지식을 힘으로 알던 양반들에 의해 설치가 되지못하는.. 너무나도 안타까운 이야기였다. 이외에도 성리학을 제외한 나머지 학설들을 이단으로 세워 언급한 이단변정, 귀신을 연구한 중용강의, 임진왜란을 겪고 지은 병법, 소헌세자를 죽음에 이르게 한 심양장계, 허준의 최대 역작 동의보감, 유교사상에 의해 사라진 수많은 소설들, 그리고 중국에서 나온.. 역사를 왜곡한 명기집략 등 총 13가지의 책들의 이야기였다. 그러고 보면 설공찬전이나 심양장계가 급진적인 사고로 버려진 것이었다면 너무 많은 분량과 구비가 어려워 큰 비용을 들여 출간했음에도 전파되지 못한 동의보감, 그리고 여진족과 사무라이의 특성을 바탕으로 병법서를 만들어 조선을 구하고자 한 한교였으나 우리나라와 병법에 대해 너무 많이 안다는 점을 빌미로 귀양을 보내고 그 의견을 묵살한 사대부들.. 이런 점에서 이 책들은 분명히 버려진 책들이다. 하지만 이성계를 이성계의 부친을 죽인 사람으로 묘사한.. 청나라 주린의 명기집략은 명백한 역사왜곡으로 영조를 화나게 해 많은 책쾌들을 처벌하게 된 위험한 책이어서인지 책과 관련된 일이긴 하지만 전체적인 내용과는 약간 핀트가 어긋나는 듯한 느낌이었다. 

그리고 중간중간 몰랐던 책에 관한 풍습을 알 수 있었다. 예전에도 책방이 있었다니!! 그것도 책값이 너무 비싸, 그리고 여자들을 중심으로 빌려오던 세책방의 존재에 놀라웠다. 그리고 삼치라는 말!! 책을 빌려달라는 사람도 빌려준 사람도 빌린 책을 돌려주는 사람도 바보라는 말!! 너무 익숙한 말이었는데 '치'자가 바보치가 아닌 술치자였다니!! 하지만 내 생각에 술치보다는 바보치가 맞는 것 같다.. 고이고이 모셔논 내책,, 안빌려주려고 발버둥치다 결국 빌려주고 못받은책이 어찌나 많은지.. 그리고 우리사회에는 책은 안돌려줘도 된다는 의식이 아직까지는 남아있는 것같아 더이상은 책을 못빌려주게 만든 말이다.

단순히 책에 대해 알려주는 역사서가 아닌 책과 관련된 풍속, 그리고 책에 집착하여 책을 순장한 사람, 남에게 빌린책도 찢어가며 읽던 사람 등 책에 관련된 여러 사람들까지 이모저모를 알 수 있던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