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선비와 일본 사무라이 표정있는 역사 7
호사카 유지 지음 / 김영사 / 200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선 최대갑부 역관을 통해 김영사의 표정있는 역사를 접하였다.. 다른 역사서에서는 다루지 않는 주제들을 다루는 것이 특징인 표정있는 역사!! 그래서인지 조선 선비와 일본사무라이라는 주제인 이 책 또한 처음 접하는 듯한 주제였다..  

사무라이하면 할복만 떠오르고 일본만이 떠오를 뿐이었다., 그리고 조선선비하면 송시열이나 이이가 떠오르는.. 과연 둘 사이에 어떤 관계가 있을까 했는데... 책 초반에 언급된 니토베 이시조의 무사도를 언급하여주고 무사를 선비로 바꾸어 설명한 부분을 통해 선비의 정신이 무사도의 정신과 일맥상통함을 볼 수 있었다... 원래 조선 아니 백제와 신라때부터 우리나라는 일본에 문물을 전래했다는 것은 사실이지만 선비의 정신도 일본에 가다니.. 그것도 조선의 치욕적인 전쟁 중의 하나였던 임진왜란때 많은 유물을 약탈해간 일본이 그 유물을 통해 이황의 정신과 선비의 정신을 이어받았다니!!! 단지 선비와 사무라이의 차이라면 선비는 학문을 중시하며 충과 효를 중시한 반면 사무라이는 무예를 중시하며 효보다도 충을 중시한다는 정도?  

처음엔 저자가 호사카 유지라는 것을 보고 일본인의 관점에서 본 선비와 사무라이의 모습이라 왠지 일본의 입장에서 유리하게 쓰여있을 것이라고만 생각했는데... 조선의 선비와 일본의 사무라이 사이에서 균형을 잃지않고 둘 사이의 관계를 다룬 것에 대해 너무 만족스러울 뿐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