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바로 살아라 - 신정일이 쓴 조선의 진보주의자들
신정일 지음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08년 9월
평점 :
품절


저자가 서문에서도 말하듯 오늘날 진정한 진보주의자가 있을까? 진보와 보수진영으로 나뉘어져 있기는 하지만 진보와 보수라는 경계가 매우 모호한게 현실이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의 주인공 12명은 시대를 앞선, 현실을 개혁하고자 한 진정한 의미의 진보주의자요 개혁주의자였다. 단, 황진이만 빼고..

우선 황진이는 집안이 가난해 부모에 의해 기생이 된 것도, 출생자체가 천한 것도 아니였으나 자신때문에 상사병에 걸려 죽은 남자를 보고 기생이 되어 마음껏 사랑을 나눈, 지와 미모를 모두 갖춘 여자로서 신분제사회인 조선에서 기생이 되기를 택했다는 점에서 인생을 결정했다는 점에서 진보주의자로 언급하였으나 다른 11명의 진보주의자와는 약간 다른 의미여서 어울리지 않았다.

조선개국공신이나 이방원과의 권력다툼 속에서 숨진 정도전.. 정도전은 고려말 귀족들의 넓은 토지를 반대하여 정전법과 같은 토지개혁을 시행하려 했으나 많은 공신들의 반발로 결국 죽임까지 당한 인물이였다. 죽임을 당하지 않았더라면 농본주의 국가인 조선에서 백성들이 더 편했을터인데..

그리고 조광조와 정여립.. 둘다 역모혐의로 처형된.. 주초위왕이라는 훈구파의 계략으로 급진적인 사림파였던 조광조가 역모혐의로 처벌된 것과는 달리 능력에 의한 왕이 아닌 세습으로 왕위가 이루어지는 조선의 왕위계승 문제삼던 정여립은 어느 정도 역모를 하려던,. 그런 진보주의자였던것같다.

이외에도 조선후기의 유명한 실학자인 이중환과 박지원, 정약용 그리고 동학창시자인 최제우와 그의 뜻을 이은 김개남, 실패한 개화주의파 김옥균, 그리고 증산사상의 강일순까지!!!

다양한 진보주의자를 알 수 있던 책이었다. 특히 전봉준에 가리워져있던 김개남과 증산사상의 강일순은 다른 역사서에서는 접하지 못했던 인물들이었기에 더욱 만족스러웠다. 하지만 강일순의 경우 다른 인물들에 비해 너무 짧게 다루어진 것은 아닌지.. 뭔가 이야기가 시작되고 바로 끝난 듯한 느낌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