햄릿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3
윌리엄 세익스피어 지음, 최종철 옮김 / 민음사 / 199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죽느냐 사느냐 그것이 문제로다.. 햄릿하면 이 대사가 가장 유명하다. 하지만 이 책에서는 있음이냐 없음이냐 그것이 문제로로 번역을 하고 있다. 처음엔 왜 이리 번역이 다를까 생각을 했지만 원래 " To be or not to be"였다는 점을 생각하면 있음이냐 없으이냐라는 말이 더 적합한듯싶지만서도.. 연극무대에서의 햄릿의 대사로는 죽느냐 사느냐그것이 문제로다라는 대사가 더 어울릴 것 같은 생각도 든다.. 삼촌이자 새아버지가 된 클로디어스가 아버지를 독살한 사실을 알게된 햄릿이 고뇌에 빠지며,, 어머니와 클로디어스, 그리고 돌아가신 아버지 사이에서 번뇌하는 비극을 그린 작품정도로만 알고 읽기 시작했다. 그래서 햄릿의 복수가 정당하며 클로디어스의 악함이 부각될 것이라고 생각했었는데.. 하지만 햄릿의 극단적인 행동과 클로디어스의 기도,, 그리고 남편의 동생과 결혼한 거트루드,, 모든 등장인물의 성격이 이중적인 것 같았다. 클로디어스가 그렇게 악하지도 거트루드가 부정을 저지른 것도 햄릿의 공명정대한 그런 사람이 아닌 것이 약간은 혼란스러웠다.

그리고 각주에 달린 설명들은 안그래도 복잡한 머리를 더욱 복잡하게 만들었다. 세익스피어가 햄릿을 쓸 당시 극단에서 관객의 이탈을 막으려고 책을 출판하지않았던 것이 여러 판의 햄릿을 남기게 했고 그로인해 해석에 대한 의견이 분분하다는 점을 각주에 언급해놓았는데.. 우리의 정서로 이해가 되지 않는 구문도, 본문과 주석을 왔다갔다하다 머리가 복잡해져 햄릿이 너무나도 어렵게만 느껴졌다.. 오필리아의 절망도 레어티즈의 복수심도 느껴지지만 너무 갑작스레 변하는 모습에 당황스럽게 여겨지기도 한다.. 그런 점에서 희곡이라는 작품의 특성상 연극으로 햄릿을 보고싶다는 생각이 든다. 여러 해석이 가능한 만큼 여러 버전의 연극 햄릿을 본다면 책으로 읽었을 때와는 다른 감동을 느끼게 되지 않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