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정 갈릴레오 탐정 갈릴레오 시리즈 1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양억관 옮김 / 재인 / 200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히가시노 게이고를 처음 만난 작품은 용의자 X의 헌신이었다. 그 책에서 용의자X보다도 관심을 끈 인물은 물리학과 조교이면서 탐정역할을 하는 유가와!!! 그가 돌아왔다.. 탐정 갈릴레오로..

구사나기와 유가와의 관계는 셜록홈즈와 왓슨같으면서도 다른 그런 관계이다. 구사나기가 형사일을 하며 궁금증이 생기는 그리고 잘 안풀리는 사건에 대해 유가와에게 의논을 하면 유가와가 주어진 정보를 바탕으로 추리를 하는 홈즈와 왓슨처럼 같이 있으면서도 셜록이 주체적으로 사건을 찾아다닌 것과는 달리 유가와는 도움만 준다는 점이 다를까?

탐정 갈릴레오는 구사나기에게 도움을 주는 유가와가 해결한 다섯가지 사건이야기이다. 장마다 이름이 타오르다. 옮겨붙다. 썩다, 폭발하다, 이탈하다여서 한 권의 장편일줄 알았는데 완전 예상을 뒤엎은 그런 단편같은 이야기의 모음집이었다. 그리고 제목도 어쩜!! 사건을 정확히 묘사하는 그런 제목이라니.. 특이한 제목인듯하면서도 맘에 든다..

용의자X의 헌신에서는 물리학자 조교인 유가와의 지식이 도움이 되지 않았다면 탐정갈릴레오는 유가와의 과학적인 지식에 의한 해결이 돋보이는 소설이라고나 할까나? 레이저를 이용한 살인, 그리고 벼락으로 인해 생긴 우연한 현상으로 인해 만들어진 알루미늄 틀, 나트륨을 이용한 폭발사건, 초음파를 이용한 살인, 그리고 우연한 굴절현상으로 보지 못하는 곳까지 보게된 사건을 다루고 있었다. 아무리 물리학자라고 해도 그렇지 정말 이해가 안되는 이야기도 많았다. 레이저를 어쩌구저쩌구 하는 장면이나 초음파를 쏘아서 피부세포가 괴사한다는 둥,., 그리고 벼락에 의한 전기가 코드에 모여 우연히도 가면과 같은 틀을 만들었다는 것등 정말 과학자가 아니면 생각지도 못하는 그런 이론이니.. 단 하나,, 고등학교때 나트륨을 물에 넣어보는 시험을 했던 기억에 의해 나트륨을 이용한 폭발사건만 제대로 이해될 뿐이니... 유가와의 시니컬하면서도 반짝이는 눈매로 사건을 해결하는 모습을 다시 봐서 좋았지만 이건 너무 지나치게 과학적인 것 아닌가 싶다 .. 하지만 마지막 이야기의 유가와!!! 아이를 만지자마자 두드러기가 생기는.. 도저히 미워할 수 없는 탐정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